공공지분 30%로 줄이고 민간 지분 70% 확대
공공 출자금 민간이 떠안는 매수청구권 조항 삭제
"신재생에너지 등 무탄소 에너지 전력 방안 기업 우대"
|
9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11일 서울 삼성동 섬유센터에서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추진을 위한 사업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날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 나와 공모 신청과 진행 절차 등에 대해 설명할 계획이다. 설명회 이후 기업들의 참여 신청은 오는 10월 20일부터 21일까지 양일간 진행하며 우선협상대상자는 별도 통지한다는 방침이다.
민·관 합작 출자를 통해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센터를 구축·운영하는 방식은 이전과 동일하다. 다만 세부 내용에서는 변화를 줬다. 이번 SPC는 공공지분을 30%로 유지하고 민간지분을 70% 이상으로 정해 민간 주도로 운영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지분율과 출자 금액은 민·관 협의를 통해 조정할 수 있도록 여지를 남겼다.
그만큼 정부의 투자 규모를 줄이는 대신 민간의 운영 권한을 높였다. 기존 SPC 구상은 6년간 공공 출자 2000억원과 민간 2000억원을 합쳐 총 4000억원 내외를 마련해 운영하는 계획이었다.
이번 SPC는 공공 출자금을 800억원으로 설정했다. 나머지 자금은 민간이 제안하는 방식이다. 출자 비중은 민간 제안에 따라 지분율에 맞게 공공 자금도 함께 확대될 수 있도록 했다. 출자금 변동에 따라 지분율도 달라졌다. 앞선 두 차례 공모가 무산됐을 당시에는 공공이 51%, 민간이 49%로 구성돼 기업들의 참여를 위축시킨 요인으로 지적됐다.
과기부 관계자는 "기존안은 민간에서 경영적인 측면에서 자율성이 부족해 질 수 있다는 지적이 있어 이번 공모에선 민간 위주로 높인 상황이다"고 전했다. 또 기존 공공 지분의 경우 매도를 요청하면 참여 기업들이 의무적으로 매수해야 하는 공공 출자금 매수청구권 조항도 이번에 사라졌다.
어떤 기업들이 이번 SPC 공모에 참여할지도 주목된다. 앞서 각 지자체들도 산업단지 유치를 위해 기업들을 대상으로 국가AI컴퓨팅센터 홍보전에 나선 바 있다. 과기부는 SPC 기업이 선정되면 2028년 개소 목표에 맞춰 사업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2027년 이내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는 기업은 평가에서 우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입지 선정과 전력 공급 방안은 여전히 참여 기업이 마련해야 할 과제다. 과기부는 전력 확보와 관련해 신재생에너지 등 무탄소 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AI데이터센터 구축 방안'을 제시할 경우 평가에서 우대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