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사는 단지 설계부터 로봇 운용을 고려해 동선과 시스템을 최적화했다. 엘리베이터와 자동문, 통신망까지 로봇과 연동되도록 설계해 로봇이 단지 내 전 구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이동 공간 확보로 원활한 통행은 물론,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관제 시스템을 적용해 로봇 스스로 층간 이동과 문 개폐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단지 밖 도로에서 지하주차장과 공동현관, 엘리베이터를 거쳐 현관문까지 완전 자율주행이 구현될 전망이다.
현대건설은 △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랩 △현대로템 △현대위아 등 그룹사 역량을 총결집해 입주민의 이동과 편의, 안전, 전기차 충전 및 주차 등 생활 전반을 지원한다. 로봇이 단지 전역에서 자율적으로 움직이며 입주민의 생활 파트너가 되는 구조다.
단지 내부에는 현대차그룹의 수요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셔클'이 적용된 무인 셔틀이 운영된다. 단지 내 이동 효율을 높일뿐만 아니라, 교통 약자에게 안전한 이동 수단을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
맞춤형 이동 서비스가 가능한 '퍼스널 모빌리티 로봇'도 도입된다. 소형 자율주행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쇼핑을 하고 돌아올 때 무거운 짐을 집 앞까지 실어줄 뿐만 아니라, 안면인식 등을 통해 배달 사고 없이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배송해 준다.
입주민의 안전한 생활을 위해서는 무인 소방 로봇(현대로템)이 있다. 고온과 유독가스 환경에서도 투입이 가능하고, 열화상 카메라와 특수 장비를 통해 소방 인력 진입이 제한되는 화재 현장에서도 신속히 대응해 입주민의 안전을 지키고 피해를 최소화한다.
단지내 상가 주차장에는 발렛 주차 로봇(현대위아)이 적용된다. 지정된 위치에 차량을 세워두면 로봇이 바퀴를 들어 올려 빈 공간에 주차시키는 방식이다. 좁은 공간에서도 이동할 수 있어 동일 면적에 더 많은 차량을 수용할 수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압구정2구역은 이동과 편의, 안전, 전기차 충전 및 주차까지 아우르는 차별화된 로봇 솔루션이 적용된 최초의 도시"라며 "사람과 로봇이 공존하며,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가 적용된 미래 주거 문화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