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재건축·리모델링·해외로”…LH 직접 시행에 공공택지 끊긴 건설사들 “피난처 모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0010005598

글자크기

닫기

김다빈 기자

승인 : 2025. 09. 10. 16:54

LH 직접 시행에…공공택지 매각 ‘사실상 중단’
건설사, 자체 사업 기회 상실…중견사 타격 불가피
재건축·리모델링·해외 등 새 성장 축 찾기 나설 듯
“민간 참여 위축 시 공급 차질·품질 저하 우려 有”
이미지
서울 시내 한 아파트 건설 현장의 모습./연합뉴스
새 정부 첫 부동산 대책으로 건설사들의 사업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서울 등 수도권 주택 공급 확충을 위해 정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공공택지를 민간에 매각하지 말고, 직접 시행하라고 주문했기 때문이다.

그간 LH로부터 택지를 사들여 아파트·상업시설을 건립·분양하며 성장세를 이어온 건설사들은 수익성 악화 우려에 직면했다. 택지 개발부터 브랜드 시공, 분양까지 이어지는 자체 사업 구조가 흔들린 셈이다. 이에 따라 건설사들은 고수익 프로젝트나 새로운 성장 통로를 찾는 데 집중할 전망이다. 재건축·리모델링·모듈러, 해외 개발사업 등이 유력한 대안으로 거론된다.

10일 관가와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9·7 공급 대책 핵심인 LH 중심의 공공주택 확대를 위한 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이한준 사장의 사의 표명으로 공석이 된 LH 수장을 조만간 선임하고, 수도권 6만가구 추가 착공 목표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문제는 건설업계의 일감 축소다. LH의 지난해 토지 판매 실적은 약 13조4000억원(1058필지)에 달했고, 이 중 공동주택용지만 5조8000억원 규모였다. 올해도 △남양주 왕숙 △고양 창릉 △하남 교산 등 3기 신도시와 △구리 갈매 △수원 당수 등 신규 택지 매각 계획이 있었지만, 이번 대책으로 상당 부분 무산됐다. 건설사 입장에서는 수조원 규모의 사업 기회가 사라진 것이나 다름없다.

특히 자체사업 비중이 높았던 중견 건설사들이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대형사들은 서울 핵심지 개발이나 신사업으로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지만, 자금력이 제한된 중견사들은 성장 전략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 한 중견사 관계자는 "택지 매입 기회가 줄면 중장기 성장 동력에 큰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토로했다.

이로 인해 중견사들이 수익성 높은 일감을 확보하기 위해 재건축·재개발 수주 경쟁으로 눈을 돌리는 움직임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신규 분양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정비사업이 대안으로 떠오른 셈이다. 실제 부동산 불황에 따라 안정적인 수익원을 찾고자 올해 계룡·대방·우미 등 주요 중견사 10곳의 정비사업 수주액은 이미 2조원을 넘어선 상태다.

정부가 이번 대책에서 새 공급 모델로 제시한 리모델링·모듈러 시장 역시 대안으로 부각된다. 공사 속도와 비용 경쟁력이 강점인 만큼, 공공·민간 프로젝트 모두에서 틈새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은상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공공성이 강조되는 사업 특성상 대형사보다는 중소형 건설사나 모듈러 전문기업이 상대적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해외 진출 확대도 현실적인 대안으로 거론된다. 국내 택지 기반 자체 사업이 크게 줄어드는 상황에서, 해외 개발 프로젝트를 새로운 성장 축으로 삼으려는 건설사들이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금호건설이 베트남 '년짝대교' 개통을 계기로 동남아 인프라 사업 확대에 나선 사례처럼, 중동·동남아 개발형 프로젝트로 시선을 돌리는 기업이 잇따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LH 직접 시행 방침이 공공택지 내 주택공급을 안정적으로 확대하려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건설사의 경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사업 참여 독려를 위해 보다 구체적인 방안을 내놔야한다고 지적한다. 건설사들의 외면으로 사업 지연에 따른 품질 저하 우려까지 불거질 수 있는 만큼, 보다 정교한 시스템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패스파인더 전문위원은 "공공주도 공급은 속도·부지 확보에는 유리하나, 민간 참여가 줄면 브랜드·품질·마케팅 경쟁력이 약화한다"며 "강남·도심권 정비사업 규제 완화와 민간 유인 인센티브 병행 없이는 시장 안정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다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