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내도 완전자율주행 시대 오나…AI 자율주행 레벨4 과제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0010005781

글자크기

닫기

김아련 기자

승인 : 2025. 09. 10. 16:24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주관 국회 세미나 개최
글로벌 선도 위한 국가 인증체계와 정책과제 다뤄
clip20250910160044
신동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 부회장이 10일 국회의원회관 제11간담회실에서 열린 국회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김아련 기자
현대자동차를 비롯해 테슬라, 폭스바겐 그룹 등 유수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적극 뛰어들며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제 자율주행 기술은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교통안전, 산업 경쟁력 등을 포괄하는 미래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업계에서는 국내에서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실현을 위해서는 AI(인공지능) 기반 기술 개발과 국제 인증 체계와의 정합성 확보를 필수 과제로 꼽았다.

10일 한국자동차기자협회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는 국회의원회관 제11간담회실에서 'AI 자율주행 레벨4 글로벌 선도를 위한 국가 인증체계와 정책과제'를 주제로 국회 세미나를 개최했다. 레벨4 자율주행이란 도심의 특정 구역에서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자율주행 시스템을 통해 차량이 주행하는 것을 말한다.

현대차는 지난해 자율주행 차량 판매 파운드리 사업을 통해 글로벌 자율주행 기업들에게 SAE 기준 레벨4 이상의 자율주행 기술 구현이 가능한 차량을 공급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자율주행기업 웨이모와 인공지능 기반 자율주행 알고리즘 공동 개발에 나서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5G·6G 통신망, K-City(자율주행 실험도시), 자율주행 시범지구, 레벨3 상용화 경험, 반도체 경쟁력 등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미래 모빌리티와 K-AI 시티 실현'을 위한 국가 정책을 본격 추진 중이다.

이날 세미나에서 국립한국해양대학교 AI공학부 학부장이자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는 신동훈 교수는 "전국 자율주행 시범지구를 디지털 트윈 기반 국가 인증 플랫폼으로 전환하고, 인간 중심 E2E 피지컬 AI 기술을 국가 R&D(연구개발)로 집중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레벨4 상용화를 위해서는 대중교통 서비스처럼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을 우선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그 다음 AI 인프라 구축을 강조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자율주행 AI 데이터를 얻기 위한 핵심 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고 했다.

또한 국내 자율주행 산업은 기술 개발을 넘어 국제 인증·표준화의 주도권 확보라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를 위해 단순한 기술 경쟁이 아닌 정책, 인프라, 인증 등 전방위적 연계 전략이 요구되며, 민관이 함께하는 '팀 코리아'의 조직적인 대응이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김아련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