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22일까지 서울에서 진행된 아파트의 평균 1순위 청약 경쟁률은 96.22대 1로 집계됐다. 강남3구와 용산에 인접한 6개 단지의 평균 경쟁률은 148.19대 1에 달한다. 외곽 지역에서 분양한 단지(105.81대 1)보다 훨씬 높았다.
지난 7월 성동구에서 분양한 '오티에르포레'는 일반공급 40가구 모집에 무려 2만7525명이 몰리며 평균 688.13대 1을 기록했다. 같은 달 영등포구에서 공급된 '리버센트푸르지오위브' 역시 195.31대 1의 경쟁률로 흥행에 성공했다.
반면 외곽 지역은 온도 차가 뚜렷했다. 지난 5월 구로구에서 분양한 '고척푸르지오힐스테이트'는 평균 13.51대 1에 그쳤고, 같은 달 은평구에서 공급된 '힐스테이트메디알레' 역시 11.05대 1로 저조했다.
강남3구와 용산구가 인접한 자치구는 집값도 강세다.
부동산R114 통계에서 올해 1~7월 서울에서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지역 중 가격 상승률 상위 10곳은 △마포구(7.63%) △강동구(7.62%) △성동구(7.47%) △광진구(6.93%) △영등포구(6.88%) △동작구(6.59%) △양천구(6.49%) △중구(5.91%) △종로구(5%) △서대문구(3.94%)로 나타났다. 모두 강남3구·용산과 인접한 지역들이다.
또한 금융 규제 환경 역시 강남권과 용산 인접 지역에 수요가 더 쏠리는 배경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강남3구와 용산구는 규제지역으로 묶여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40%에 불과한 반면, 인접 지역은 70%까지 가능해 자금 마련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런 가운데 이달부터 강남3구와 용산에 속해있거나 인접한 지역에 아파트가 분양될 전망이다.
현대건설은 9월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155-4번지 일원에 들어서는 '힐스테이트 이수역센트럴'을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25층, 11개 동, 총 931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중 전용면적 44~84㎡ 170가구를 일반분양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수도권 지하철 7호선 이수역과 4호선 총신대입구역을 도보 5분 내 이용 가능한 더블 역세권 입지를 갖췄다.
포스코이앤씨는 10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 일원에 '더샵 신풍역'을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35층, 16개 동 규모다. 전용면적 51~84㎡ 2030가구 가운데 312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지하철 7호선 신풍역을 도보로 이용 가능하며, 오는 2026년 신안선 신풍역도 개통 예정이다.
포스코이앤씨는 하반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문래동5가 일원에 '더샵르프리베'를 선보일 계획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1층 6개 동, 총 324가구 규모로 이 중 전용면적 44~84㎡ 138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지하철 2호선 도림천역, 문래역까지 도보로 이동할 수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하반기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주공 1단지 3주구를 재건축한 '래미안 트리니원'이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35층, 17개 동, 총 2091가구 규모로 이 가운데 전용 59·84㎡ 506가구가 일반분양된다. 단지는 지하철 9호선 구반포역, 4호선 동작역을 이용할 수 있다. 동작대교, 반포대교, 한남대교 접근성이 우수하며 올림픽대로, 잠원나들목 등을 통한 이동 여건이 편리하다.
DL이앤씨는 하반기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일원 신동아아파트를 재건축한 '아크로 드 서초'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4층~지상 39층, 16개 동, 총 1161가구로 지어지며 이 중 56가구가 일반분양으로 공급된다. 강남역과 뱅뱅사거리 사이에 위치해 강남 업무지구가 도보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