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에 서울대 수준 투자…수도권 교육 쏠림 구조 해소"
고교학점제·AI 인재 양성·기초학력 지원 등 현안 대응도 강조
|
최 부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교육활동이 침해받는 사례가 반복되면서 상처받는 교사가 갈수록 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열악한 근무 여건과 학생 지도의 어려움으로 교단을 떠나는 선생님들이 늘고 있는 것이 우리 교육의 안타까운 현실"이라며 "선생님이 학생을 가르치고 돌보는 데 전념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헌신이 존중과 보람으로 돌아올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중등교사 출신이자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초대 사무처장을 지낸 최 부총리는 전교조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교육부 장관에 임명됐다.
최 부총리는 '지나친 경쟁'의 폐해도 지적했다. 그는 "경쟁이 실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과도한 경쟁은 왜곡된 구조와 사회 문제를 야기한다"며 "학교는 경쟁을 넘어 배려와 존중, 공동체 정신을 배우는 공간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교육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와 관련해서는 "지방대에도 서울대 수준의 전략적 투자를 해 수도권 중심의 교육 불균형을 해소하겠다"며 "자신이 자란 지역에서 대학에 진학하고 정주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교육부 정책 기조로 △공교육 국가책임 강화 △AI 시대를 이끌 미래인재 양성 △교육을 통한 지역혁신과 국가 균형발전 실현 등을 제시했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는 기초학력 지원 강화, 유아~초등 대상 양질의 돌봄 제공, 민주시민교육·인문학·직업교육 확대 등을 언급했다.
최 부총리는 또 "아이들이 AI 시대를 주도할 수 있도록 디지털 문해력과 AI 기초역량을 키우는 교육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최 부총리는 이날 오전 교육부 청사에 첫 출근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고교학점제, 청문회 논란 등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고교학점제는 이미 출발했지만 현장에서 우려가 큰 만큼 빠르게 우선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또 "아이들의 마음 건강을 살피는 일, 지역 대학의 균형적 발전 등도 주요 과제로 꼽아 적극 챙기겠다"고 말했다.
임명 과정에서 불거진 음주운전과 막말 논란에 대해서는 "청문회 과정은 그동안의 저 자신을 되돌아보는 아주 귀한 기회였다"며 "많이 반성했고, 아프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도 우려하는 분들이 계시겠지만, 그분들의 우려가 기대로 바뀔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일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