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현대건설에 따르면 회사는 압구정2구역 주요 금융조건으로 △분담금 입주 후 최대 4년 유예 △이주비 주택담보대출비율(LTV) 100% △기본·추가이주비 동일 금리 적용 △금리 상승에도 변동 없는 고정금리 등을 제안했다.
그동안 도시정비사업에서 시공사들이 내세운 유예 조건이 사실상 조합원 개인 대출, 즉 수요자 금융조달 방식에 불과한 것과 비교해 차이가 있다는 설명이다. 현행 주택담보대출 한도와 대출 규제를 고려하면 실제 한도는 부족했고, 결국 입주를 위해 조합원이 직접 분담금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 가장 큰 부담으로 꼽혀 왔다는 것이다.
이에 현대건설은 분담금을 입주 시에 100% 납부하거나, 조합원이 대출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시공사에서 직접 책임지고 자금을 조달한다. 입주 후 2년에 추가 2년을 더해 최대 4년까지 유예할 수 있도록 했다.
'이주비 조건'도 주목할 만 하다는 주장이다. 현재 기본이주비 한도는 최대 6억원까지만 가능하다. 현대건설은 추가 이주비를 책임 조달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총 이주비 LTV 100%'를 제안했다.
이주비에 대한 금리 혜택도 더해 업계 최초로 추가이주비를 기본이주비와 동일한 금리로 대여하는 조건을 제안했다.
기본이주비는 담보대출로서 조합에서 저금리로 조달하는 반면, 추가이주비 금리는 통상 약 1~2% 더 높다.
하지만 추가 이주비 금리를 기본 이주비와 동일하게 적용해 조합원들의 금융비용 부담을 줄이기로 했다.
마지막으로 사업비 조달과 관련해 '(기본금리) CD금리+(가산금리) 0.49%'를 고정해 제안했다. 재건축 사업에 필수 사업비에 대한 금리를 기준금리와 가산금리로 제안한 것이다. 가산금리는 현대건설이 금리 상승시에도 변동없이 고정금리로 확약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기존 재건축 사업에서 전례를 찾기 어려운 금융조건을 압구정2구역에 제안했다"며 "조합원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협력 관계를 통해 압구정2구역을 '대한민국 주거의 새로운 상징'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압구정2구역은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아파트 9·11·12차로 구성된 정비구역이다. 재건축을 통해 현재 1924가구가 지하 5층~최고 65층, 2571가구 규모로 거듭날 예정이다. 공사비는 약 2조7488억원으로 추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