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확인 사항 신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할 것"
|
17일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실이 KT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5일부터 이달 3일까지 피해 고객은 278명, 결제 건수는 527건에 달한다. 최초 피해일은 8월 5일이며 이는 사건이 공식적으로 알려지기 한 달 전이다. 이후 피해는 16일에 걸쳐 이어졌다. 특히 8월 21일 이후 급증해 27일에는 하루에만 106건이 발생했다.
황 의원은 "최소 8월 5일부터 이상 신호가 있었는데 KT의 축소·은폐 시도로 피해가 커졌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즉각 전수조사를 벌여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축소·은폐 행위를 발본색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황 의원은 "막대한 경제적 제재를 가해야 재발 방지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KT는 책임을 인정하며 당시 상황에 대해 "9월 1일 수사기관으로부터 문의를 받은 뒤 구체적 피해 명단과 원인을 확인하는 데 시간이 필요했으며 당시에는 스미싱이나 악성앱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했다"며 "사전에 확인·조치하지 못한 점은 송구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상 결제 패턴을 확인한 뒤 5일 새벽부터 비정상 결제를 차단해 이후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며 "VOC분석등을 통해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를 추적·발견하는 등 사건 규명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추가로 확인되는 사항은 신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