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민관 조사단 꾸려 분석 착수
|
17일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달 5일부터 이달 3일까지 피해 고객은 278명, 결제 건수는 527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최초 피해일은 8월 5일로 KT의 공식 발표와 언론 보도 시점보다 약 한 달 빠르다. 피해는 초기에 하루 한 자릿수에 머물렀으나 8월 21일 33건, 27일 106건 등으로 급증했다. 결제는 대부분 모바일 상품권 사이트를 통한 ARS 인증 방식에서 발생했으며 9월 초까지 두 자릿수 규모의 피해가 이어졌다. 황 의원은 "8월 초부터 이상 징후가 있었는데도 KT가 즉각 대응하지 않아 피해가 커졌다"고 주장하며 "과기정통부가 전수조사를 통해 축소·은폐 여부를 조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KT는 초기 피해를 완전히 인지하지 못한 경위를 설명하며 사안 은폐 의혹에 선을 그었다. KT는 "9월 1일 수사기관으로부터 문의를 받은 직후 구체적인 피해 명단과 원인을 파악하는 데 시간이 필요했다"며 "당시에는 스미싱이나 악성앱 감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해 침해사고로 즉시 분류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사전에 조치를 하지 못한 점은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KT는 5일 새벽 통화 기록에서 비정상적인 패턴을 확인하고 소액결제 차단 조치를 시행했다. 이후 동일 유형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KT는 "이상 결제 패턴을 확인한 즉시 고객 보호와 피해 최소화를 최우선으로 삼아 차단에 나섰으며 이후 재발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또한 KT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내부 분석 역량을 총동원해 사안 규명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중대한 통신망 침해 사고로 판단하고 민관 합동조사단을 구성했다. yeonie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