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HMM 이전 빨리 안될까요?”…부산상의, 전재수 해수부 장관에 현안 건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8010010573

글자크기

닫기

부산 조영돌 기자

승인 : 2025. 09. 19. 11:02

KakaoTalk_20250918_120620499_03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앞줄 왼쪽 일곱번째)이 18일 부산상공회의소 상의홀에서 지역 상공인들과의 간담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부산상의
부산지역 상공인들의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에게 HMM 본사의 신속한 부산 이전을 촉구했다.

19일 부산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전 장관은 전날 부산상의 상의홀에서 지역 상공인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혜정 부산지방해양수산청장, 양재생 회장을 비롯한 부산상의 회장단과 상의 의원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해양수도 부산의 위상 강화를 위한 주요 현안 논의와 함께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과 산업 환경 변화 속에서 지역 기업의 당면애로를 직접 해수부 장관에게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건의 내용으로는 △해수부 기능 강화 △북극항로 개척 △해사전문법원 설립 △HMM 본사 부산 이전 등 해양수도 부산 위상강화를 위한 4대 핵심현안과 함께 △공유수면 점·사용료 감면 △부산항 입항 선박 수리 신고·허가 시간 확대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면세점 임대료 감면 연장 등의 기업애로도 포함됐다.

먼저 부산상의는 해수부 연내 이전이 정부의 123대 국정과제에 포함된 만큼 부산이 해양수도로서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해수부의 기능 확대와 북극항로 개척, 해사법원 본원 유치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또 국내 최대 국적선사이자 정부 지분이 70% 이상인 HMM의 본사 부산 이전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이와 관련 참석 기업인들은 최근 대기업의 HMM 인수 검토 보도가 이어지는 만큼 이번 기회에 '부산 이전'을 매각 조건으로 명시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기업애로와 관련해서는 최근 10년간 두 배 가까이 오른 부산의 공시지가가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하고 있어, 중소·중견 수리조선사의 부담이 과중하다며 공유수면 점·사용료 감면 제도를 법률로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부산항 입항 선박의 체선율과 물류비를 줄이기 위해 수리 허가를 24시간제로 확대하고,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면세점의 임대료 50% 감면도 2027년 7월까지 연장해 줄 것을 건의했다.

양 회장은 "부산경제는 오랫동안 머물렀던 침체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글로벌 해양수도라는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며 "부산이 동북아를 호령하는 진정한 해양수도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수부가 적극 지원해 달라"고 말했다.

이에 전 장관은 "올해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을 완료하면 내년은 해양수도 원년을 맞이하게 된다"며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해 주요 정책 과제들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더 많은 실적과 성과를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영돌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