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시스템은 지난 19일부터 정식 오픈했다. 녹색여신의 심사(적합성 판단)부터 사후관리, 모니터링, 내부통제 지원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통합 업무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계열사별 여신 취급 과정에서 금융당국 지침에서 정한 절차와 요건을 체계적으로 반영할 수 있게 됐다.
주요 기능으로는 환경부의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에 기반한 녹색여신 적합성판단 절차 지원, 기업 주요 품목·업종 분석을 통한 녹색경제활동 자동 추천 및 키워드 검색, 녹색여신 자금사용내역 점검 등 사후관리, 녹색여신 비율 산출 등 그룹 현황 모니터링 등이 있다.
특히, 그룹 내 은행, 생명, 손해, 증권, 캐피탈, 저축은행 등 여신 취급 전 계열사를 대상으로 구축돼, 감독규제에 부합하는 그룹 차원의 업무체계를 갖추고 녹색여신 심사의 정합성과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이번 시스템 구축으로 녹색여신 심사에서 투명하고 일관된 기준이 적용된다. 또한 녹색여신으로 인정될 경우 금리 인하, 정책자금 연계 등 금융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녹색여신 인증서를 통해 ESG 경영 활동을 대외적으로 홍보할 수 있다.
조정래 농협금융 미래성장부문장은 "이번 녹색여신 적합성판단 시스템 구축으로 그룹 전반의 녹색여신 업무 프로세스가 표준화되고, 감독당국 정책에 부합하는 녹색금융 이행 및 실행 기반을 갖추게 됐다"며 "향후에도 ESG 금융 전문성 제고 및 녹색금융 확대를 통해 ESG 경영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농협금융은 이번 구축 시스템을 기반으로 정부의 녹색·전환금융 정책과 연계해 신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전환 프로젝트 지원을 확대, 기후·에너지 분야 초혁신경제 구축에 기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