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스미싱 주의보…소비자경보 ‘경고’로 상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1010011216

글자크기

닫기

이선영 기자

승인 : 2025. 09. 21. 12:00

출처 불분명한 URL주소 클릭 금지
스미싱 피해 발생시 신속한 신고해야
clip20250921110231
/금융위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지급' 신청을 앞두고 금융당국이 스미싱 주의 소비자경보를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했다. 2차 소비쿠폰 신청 문자에는 URL이 없다며 절대 클릭해서 안 된다고 당부했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22일부터 시작되는 2차 소비쿠폰 지급기간 중에 다양한 스미싱 시도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소비자경보 등급을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한다고 21일 밝혔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1차 소비쿠폰 지급기간 중 430건의 스미싱 문자, 정부24 사칭 악성앱 유포 사례가 확인됐다. 2차 소비쿠폰 지급기간에도 다양한 스미싱 시도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금융위는 금융회사가 발송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관련 소비자 안내에는 URL이 포함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에 소비쿠폰 신청·지급 명목으로 전달받은 URL을 절대 클릭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사기범은 금융기관 등을 사칭해 가짜 웹페이지를 제작해 정보를 탈취하므로 과도한 개인·금융정보 요구시 즉시 진행을 중단하고 공식 홈페이지 주소를 확인해야 한다.

안드로이드 휴대폰의 경우 보안 위험 자동 차단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 앱에서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메뉴에 접속해 '보안 위험 자동 차단'을 활성화 하면 된다.

악생앱을 이미 설치했다면 V3나 시티즌코난 등 모바일 백신앱으로 검사 후 삭제해야 한다. 또는 휴대폰 초기화, 한국인터넷진흥원 상담센터에 도움을 요청하면 된다.

금융당국은 스미싱 문자를 받은 경우 발신 전화번호 이용 중지를 위해 보이스피싱 통합신고대응센터에 제보해달라고도 전했다.

스미싱 피해가 발생했을 때에는 신속하게 금융회사나 보이스피싱 통합신고대응센터로 지체없이 신고해 지급 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추가 피해 예방은 '개인정보 노출자 사고 예방 시스템', '본인 계좌 일괄지급정지 서비스'를 활용하면 된다.

금융당국은 금융피해 예방을 위한 안심차단서비스,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적극 이용할 것도 당부했다.
이선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