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세대 교체 아닌 확장, 루키들이 만든 5세대 K-팝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1010011254

글자크기

닫기

이다혜 기자

승인 : 2025. 09. 21. 12:18

넥스지·미야오·아르테미스, 각기 다른 모델로 다음 시장 겨냥
글로벌 기획부터 팬덤 유지 전략…세대 정의 바꾸는 신인 그룹들
넥스지
넥스지/JYP엔터테인먼트
2025년 가요계에는 '5세대 K-팝'이라는 새로운 흐름이 확연하게 자리 잡고 있다. 2023년 이후 데뷔한 신인 그룹들을 중심으로 이전 세대와는 분명히 다른 양상이 관찰되며 업계와 팬덤은 자연스럽게 이들을 다섯 번째 세대로 부르고 있다.

21일 가요계에 따르면 넥스지·미야오·아르테미스 등 루키 그룹들이 K-팝의 산업 구조와 문화적 방향성을 새롭게 정립하며 장르의 확장성과 생존 전략을 본격적으로 실험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먼저 올해 두각을 드러낸 신인 그룹 중 하나는 넥스지다. JYP엔터테인먼트와 소니뮤직 재팬이 합작한 그룹으로 양국 시장을 동시에 겨냥한 듀얼 현지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2025년 3월 발매한 미니앨범 '날리나'는 한터차트 기준 초동 11만장을 기록했으며 전년도 데뷔 싱글 '라이드 더 바이브'는 일본 오리콘 주간 차트 2위에 올랐다. 전원 일본인 멤버로 구성된 이 그룹은 일본어 음원과 현지 언론 노출 등 전방위 전략으로 성과를 확대하고 있다.

미야오
미야오/더블랙레이블
미야오(MEOVV)는 테디가 이끄는 더블랙레이블 소속으로 지난 5월 첫 번째 미니 앨범 '마이 아이즈 오픈 브이바이드'(My Eyes Open VVIDE)를 발표했다. 앨범은 발매 직후 한국 서클 앨범 차트 4위에 오르며 데뷔와 동시에 존재감을 드러냈다. 선공개곡 '핸즈 업'(Hands Up)과 타이틀곡 '드롭 톱'(Drop Top)을 통해 팀의 정체성을 확립했으며 일본 디지털 싱글 '미 미 미'(Me Me Me)로 현지 활동도 시작했다.

아르테미스
아르테미스/모드하우스
아르테미스는 기존 팬덤 자산을 바탕으로 탄탄한 지지층을 형성한 사례다. 2024년 정규 1집 '달'로 국내 서클 앨범 차트와 미국 빌보드 글로벌 부문에서 7위를 기록했고 이후 진행한 월드투어 '문샷'을 통해 북미·유럽 무대를 순회했다. 올해는 미니앨범 '번'과 '클럽 이카루스'를 연달아 발표하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상대적으로 소규모지만 높은 팬덤 유지율을 보여주며 글로벌 시장 내 지속 가능성을 증명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K-팝 생태계의 구조적 전환과 맞닿아 있다. 과거의 세대 구분이 퍼포먼스와 콘셉트 중심이었다면 5세대는 기획 모델과 전략 자체가 주요한 평가 기준이 되고 있다. 콘텐츠 유통이 플랫폼 중심에서 서사 중심, 그리고 다시 브랜드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신인 그룹에게 요구되는 역량 또한 복합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단순히 좋은 음악을 벗어나 '무엇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가 핵심 경쟁력이 된 셈이다.

그중에서도 미야오는 앨범 성과와 해외 진출, 브랜드 협업을 빠르게 병행하며 신인으로서는 이례적인 성장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넥스지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바탕으로 일본 시장에 안정적인 팬덤을 구축했고, 아르테미스는 기존 세계관과 팬층을 계승하면서도 독립된 브랜드 정체성을 확립하며 재도약에 성공했다. 각 그룹은 서로 다른 전략을 통해 '확장형 세대'로서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 있다.

한 가요계 관계자는 "이제는 누가 더 화려한 데뷔를 했느냐보다 누가 더 정밀하게 설계된 전략으로 팬덤을 확보하고 유지하느냐가 중요한 시대"라며 "5세대 K-팝은 단순한 세대 교체가 아니라 K-팝 산업이 다음 10년을 어떻게 설계해 나갈지를 보여주는 집합적 실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다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