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모디 총리는 이날 대국민 연설에서 "우리가 매일 쓰는 많은 제품이 외국산임을 알지 못하고 있다"며 "이제 그것들을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우리는 인도에서 생산된 제품을 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특정 국가명을 거론하지는 않았다.
모디 총리의 발언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산 수입품에 50% 관세를 부과한 결정이 자리 잡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 이후 인도 내에서는 '스와데시(국산품 애용 운동)'가 재점화됐고, 모디 지지자들은 맥도널드, 펩시, 애플 등 대표적 미국 브랜드에 대한 불매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인도는 인구 14억 명의 거대 시장으로, 미국 소비재 기업들에 전략적 요충지로 꼽힌다. 아마존 같은 온라인 유통업체를 통해 미국 브랜드의 영향력은 소도시까지 깊숙이 확산해 있다. 모디 총리는 이러한 시장 구조 자체를 겨냥해 소매상들에게도 국산품 판매에 집중할 것을 요구하며, 대미 무역 압박과 동시에 국내 산업 보호를 병행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소비자 운동 차원을 넘어 미·인도 간 정치·외교 갈등의 연장선에 놓여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도 정부는 자국 경제 자립을 전면에 내세우는 동시에 미국과의 협상 카드로 활용하려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피유시 고얄 인도 상무장관이 22일 워싱턴을 방문해 무역 협상에 나설 예정이지만, 긴장된 양국 관계가 쉽게 풀릴지는 불투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