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상공인 제품은 대기업과 비교했을 때 품질에서는 버금가지만 아무래도 판로에서는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다. 소비자는 익숙한 브랜드를 선호할 뿐 아니라 유통망에서는 검증된 매출을 우선시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소상공인은 좋은 제품을 만들어도 소비자에게 선 보일 기회가 적다. 소상공인 상당수가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하더라도 노출 경쟁에서 밀려 매출로 이어지지 못 하는 게 현실이다.
현재 중기중앙회의 홈앤쇼핑과 공공기관인 공영홈쇼핑이 중소기업·소상공인 전용 T커머스를 준비 중인 가운데 걱정되는 부분이 있다. 단수의 T커머스가 신설될 경우 판매 성과가 검증된 중견기업이나 매출 규모가 큰 중소기업 위주로 편성이 쏠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약자인 소상공인이 '사각지대'에 놓일 것으로 보인다. 이들을 위해선 이윤 추구도 중요하지만 공공성과 상생이 강조돼야 할 것이다. 이 같은 원칙이 지켜지지 못 하면 현재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홈쇼핑사의 T커머스의 재판이 될 수밖에 없다.
현재 신규 T커머스의 논의는 '중소기업'에 무게가 쏠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소기업의 판로 개척도 필요하지만 영세 자영업자·동네 소공인의 처지는 더욱 절실하다. 정부가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T커머스를 추진한다면 소상공인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채널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일정 비율 이상을 소상공인 전용 상품에 배정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고 공영 성격을 띠는 만큼 제품 검증 및 사후 관리를 책임질 수 있는 주체가 필요하다. 이 같은 상황에서는 공공성을 우선시할 수 밖에 없는 공공기관인 공영홈쇼핑이 소상공인을 위한 T커머스를 운영하는 게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공영홈쇼핑은 업계 유일한 공공기관으로 기존 티머커스 10개사와 비교해도 가장 낮은 판매 수수료율(20% 수준)로 운영 중이다. 또한 상생펀드를 통한 대출금리 감면을 지원하는 것도 매력적이다. 또한 중소기업 대비 규모의 경제에서 밀리는 소상공인을 위한 판로지원 전용 채널 운영 경험도 강점이다.
중소기업·소상공인 전용 T커머스가 '간판만 바뀐 홈쇼핑'이 되지 않으려면 공공성 확보와 함께 중소기업뿐 아니라 소상공인를 배려해 운영할 수 있는 구조가 제도화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업계의 목소리를 귀 담아 듣고 '소상공인 희망 채널'을 포함한 복수의 T커머스를 추진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