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방사선관계종사자, 20년 사이 3.4배 증가…피폭선량은 63% ↓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3010012526

글자크기

닫기

서병주 기자

승인 : 2025. 09. 23. 12:00

'2024년도 의료기관 방사선관계종사자 피폭선량 연보' 발간
지난해 관계종사자 11만3610명…최근 5년 동안 지속 상승
2004년 1인 연평균 피폭선량 0.97mSv→지난해 0.36mSv
image01
방사선관계종사자 및 피폭선량 현황(2004년~2024년)./질병관리청
지난해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가 설치된 곳에서 근무한 이가 11만명 이상으로 집계, 20년 사이 3배 넘게 늘었지만 피폭선량은 오히려 대폭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은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관계종사자의 개인 피폭선량을 분석, '2024년도 의료기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개인 피폭선량 연보'를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방사선관계종사자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설치한 곳을 주된 근무지로 하는 자로서,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관리·운영·조작 등 방사선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자를 의미한다. 직업적으로 방사선 노출 우려가 큰 만큼 분기별로 방사선 피폭선량을 측정하고 있으며, 2004년부터 매년 측정결과를 분석한 연보가 발간되고 있다.

지난해 방사선관계종사자 수는 11만3610명이었으며 1인당 연간 평균 피폭선량은 0.36mSv(밀리시버트)로 통계자료를 처음 발표한 2004년에 비해 방사선관계종사자 수는 3.4배 증가했지만, 피폭선량은 63%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5년간의 현황을 살펴보면, 방사선관계종사자 수는 매년 증가해 지난해 기준 2020년 대비 16% 증가했으며 1인당 연간 피폭선량은 10% 감소했다.

지난해 방사선관계종사자 중 방사선사, 의사, 치과의사의 비중이 전체의 74% 이상이었으며, 직종별 피폭선량은 방사선사가 0.73mSv로 가장 높았고, 간호사가 0.13mSv로 가장 낮았다.

방사선사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취급하고, 의료방사선 검사업무를 직접 수행하기 때문에 타 직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폭선량이 높지만, 최근 5년간 15% 이상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업무보조원의 피폭선량도 소폭 감소했고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기타 직종의 피폭선량은 늘었다.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연령대는 30대(26.7%, 3만387명), 40대(26.9%, 3만615명)가 전체의 53.6%이고, 피폭선량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했다. 20대 방사선사의 피폭선량은 1.25mSv로 직종, 연령 구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질병청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선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피폭선량이 높은 종사자에게 사전 주의통보를 실시하고, 2회 이상 주의통보자가 발생한 의료기관에는 재발방지 대책을 요청하고 있다. 또 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 교육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안전한 의료방사선 환경조성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인식개선과 안전관리 수칙 준수가 중요하다"며 "질병청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와 피폭선량 관리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병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