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뉴질랜드, 이민자 거주권 제한 완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3010012763

글자크기

닫기

이정은 기자

승인 : 2025. 09. 23. 15:33

해외이주로 인한 노동력 이탈 심각
숙련된 전문직 노동력 지속적 공급 기대
clip20250923152728
챗GPT로 생성한 관련 이미지
뉴질랜드가 국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이주 노동자들의 거주권을 완화한다고 가디언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니콜라 윌리스 뉴질랜드 경제성장부 장관은 "일부 이민자들이 기존 인력에서 얻을 수 없는 중요한 기술과 상당한 경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거주지를 얻기가 너무 어렵다"라며 이들이 거주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두 가지 새로운 경로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첫 번째 경로는 숙련직 이민자를 위한 것이며, 두 번째는 기술직 및 전문직 이민자를 위한 것이다. 윌리스 장관은 성명서에서 경험이 풍부하고 숙련된 이민자들이 인력 격차를 해소하고 결과적으로 기업의 성장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전했다.

에리카 스탠퍼드 이민부 장관은 숙련직 경력 경로가 "이미 뉴질랜드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라며, 고용주가 직무에서 능력을 입증한 근로자와 함께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다고 말했다.

뉴질랜드인의 해외 이주는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7월부터 2025년 7월까지 7만3400명의 뉴질랜드인이 해외로 떠난 반면 귀국해 정착한 사람은 2만2800명에 불과했다.

1월 정부는 소위 '디지털 노마드(원격 근무자)'를 유치하기 위해 해외 방문 비자 규정을 완화했다. 2월에는 부유한 외국인에게 거주권은 부여하는 '액티브 인베스트 플러스 비자(일명 골든 비자)' 요건을 완화했다.

비즈니스 뉴질랜드는 거주권 완화 정책을 환영하며 고용주가 숙련된 근로자들과 지속적으로 함께 일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라며 시행 시기를 앞당길 것을 촉구했다.

반면 연정 소수당인 뉴질랜드 퍼스트당은 "초점이 흐린 이민 정책"이라며 '합의하지 않기로 합의' 조항을 발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가 그들을 받아들이고, 훈련하고, 기술을 가르치고 가족을 돌봐줘도 그들은 결국 이민을 간다"라고 당은 주장했다.

정부의 새로운 거주권 완화 정책은 2026년 중반부터 시행될 계획이다.
이정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