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인도의 지붕’ 라다크서 유혈 시위…‘주(州) 지위 요구’ 시위에 5명 사망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5010013987

글자크기

닫기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승인 : 2025. 09. 25. 11:12

INDIA-PROTESTS/LADAKH <YONHAP NO-2804> (REUTERS)
24일(현지시간) 인도 라다크 지역 레에서 주민들의 시위가 벌어진 가운데 차량이 불타고 있다/로이터 연합뉴스
'인도의 지붕'으로 불리는 히말라야의 고산지대 라다크에서 24일(현지시간), 완전한 '주(州)' 지위와 헌법적 자치권을 요구하며 거리로 나선 수백 명의 시위대와 경찰이 격렬하게 충돌하며 최소 4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부상하는 유혈 사태가 발생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번 충돌은 2019년 인도 중앙정부가 라다크를 카슈미르에서 분리한 이후 누적된 현지 주민들의 불만과 배신감이 폭발한 것으로 이 지역에선 수십 년만에 발생한 최악의 폭력 사태다.

이번 사태는 주(州) 지위 격상을 요구하며 단식 농성을 벌이던 사회운동가 2명이 쓰러진 것을 계기로 촉발됐다. 이에 분노한 수백 명의 주민들이 라다크의 중심 도시인 레(Leh)에서 시위를 벌였고, 경찰이 이를 막아서면서 충돌이 시작됐다.

시위대는 경찰을 향해 돌을 던졌고, 군용 차량과 집권당인 인도국민당(BJP)의 지역 사무소에 불을 질렀다. 경찰 역시 시위대를 향해 최루탄과 곤봉을 휘두르고 실탄까지 발사하며 강경 진압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시위대 5명이 숨지고, 경찰 20여 명을 포함한 수십 명이 다쳤다.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은 2019년 나렌드라 모디 정부의 결정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인도 정부는 오랜 분쟁 지역이었던 잠무-카슈미르주의 특별지위를 박탈하고, 불교도가 다수인 라다크 지역을 이슬람교도가 다수인 카슈미르에서 분리해 별도의 연방 직할지로 만들었다.

당시만 해도 라다크 주민들은 카슈미르의 정치적 그늘에서 벗어난다며 이 결정을 반겼다. 하지만 연방 정부의 직접 통치를 받게 되면서 주민들 사이에선 불만이 싹트기 시작했다. 외부 대기업 자본이 자신들의 토지를 잠식하고, 무분별한 개발이 히말라야의 취약한 생태계를 파괴하면서 지역 주민들의 일자리를 빼앗아갈 것이란 우려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진 탓이다.

결국 라다크 주민들은 △자신들의 의회와 정부를 가질 수 있는 완전한 '주(州) 지위' △토착 부족의 토지와 문화, 농업을 보호할 수 있는 '헌법적 보호 장치' △지역민을 위한 일자리 할당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단식 농성을 이끌었던 저명한 환경운동가 소남 왕축은 유혈 사태 이후 농성을 중단하며 "정부가 평화적인 시위와 행진을 무시할 때, 이런 상황이 벌어진다"고 정부의 무대응을 비판했다.

라타크는 중국·파키스탄과 국경을 맞댄 전략적 요충지기도 한만큼 인도 정부에도 새로운 화약고가 될 수 있다는 정치적 부담이 커지고 있다. 다음달 6일로 예정된 중앙저부와의 대화에서 돌파구를 찾지 못할 경우 사태가 더욱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