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과거 대책 때보다 둔화 효과 작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5010013998

글자크기

닫기

임우섭 기자

승인 : 2025. 09. 25. 11:22

한국은행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 발표
"금융 불균형 우려 잠재…정책 공조 대응 중요"
서울시, 강남3구·용산구 토허구역 1년 3개월 재지정
1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연합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정부의 '6·27 가계대출 대책'에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최근 6·27 대책 시행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 흐름을 점검한 결과, 과거 주요 대책에 비해 가격 상승 폭 둔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시장 기대심리 안정을 위한 거시건전성 정책 기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1.4%로 2018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7월 들어 상승 폭은 1.1%로 다소 줄었으나, 과거 대책 발표 직후 10주가 지나면 평균 0.03% 수준까지 하락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0.1%에 근접한 수준이 이어졌다.

특히 9·7 대책 이후 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강남 3구와 마포·용산·성동구 등 주요 지역뿐 아니라 노원·도봉·강북 등 비강남권에서도 상승세가 확산됐다. 다만 거래량은 6월 1만2131건에서 7월 4362건으로 크게 줄며 위축 양상을 보였다.

가계대출도 같은 흐름을 보였다. 7월 증가 규모는 4조2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2조3000억원 축소됐으나, 5월~6월 주택거래 영향으로 8월 4조7000억원으로 다시 확대됐다. 2분기 기준 가계신용은 전분기 대비 1.3% 늘어나 소득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141.6%로 올라섰다.

장정수 한국은행 금융안정국장은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 기대가 유지되면서 금융 불균형 우려가 여전히 잠재해 있다"며 "금융 불균형 축적 우려가 잠재해 있는 만큼 긴밀한 정책 공조를 통해 대응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임우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