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불균형 우려 잠재…정책 공조 대응 중요"
|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1.4%로 2018년 9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7월 들어 상승 폭은 1.1%로 다소 줄었으나, 과거 대책 발표 직후 10주가 지나면 평균 0.03% 수준까지 하락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0.1%에 근접한 수준이 이어졌다.
특히 9·7 대책 이후 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강남 3구와 마포·용산·성동구 등 주요 지역뿐 아니라 노원·도봉·강북 등 비강남권에서도 상승세가 확산됐다. 다만 거래량은 6월 1만2131건에서 7월 4362건으로 크게 줄며 위축 양상을 보였다.
가계대출도 같은 흐름을 보였다. 7월 증가 규모는 4조2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2조3000억원 축소됐으나, 5월~6월 주택거래 영향으로 8월 4조7000억원으로 다시 확대됐다. 2분기 기준 가계신용은 전분기 대비 1.3% 늘어나 소득 대비 가계신용 비율이 141.6%로 올라섰다.
장정수 한국은행 금융안정국장은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 기대가 유지되면서 금융 불균형 우려가 여전히 잠재해 있다"며 "금융 불균형 축적 우려가 잠재해 있는 만큼 긴밀한 정책 공조를 통해 대응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