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최초 금속활자 직지 저자 백운화상 사상 편지 통해 조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7010014858

글자크기

닫기

안양 황의중 기자

승인 : 2025. 09. 27. 15:31

한마음선원 10회 한마음과학 국제학술대회 개최
30년 넘게 직지 연구한 야닉 브륀느통 교수 발표
"백운, 국가종교로서 불교보다 수행 본분 강조"
clip20250927122902
경기도 안양 한마음선원 본원에서 27일 야닉 브뤼느통 프랑스 파리 시테 대학교 교수가 백운화상 서신에서 나타난 그의 사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황의중 기자
세계 최초 금속활자로 인쇄한 고려 시대 책인 직지요절에 대해 아는 사람은 많아도 직지요절의 정식 명칭이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이하 직지)이란 것과 저자 백운 경한스님(1298~1374)에 대해 아는 사람은 더욱 적다. 나옹·태고선사 등과 더불어 고려 말 대표 선사임에도 백운화상(덕망있는 스님)의 일대기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러한 백운화상의 사상을 분석해 조명한 외국인 석학이 있어 눈길을 끈다.

한마음선원 산하 한마음과학원은 27일 제10회 국제학술대회를 안양본원 3층 법당에서 개최했다. 한마음선원 이사장 혜수스님, 안양본원 주지 혜솔스님 등 스님들과 미국 박진영 아메리카 교수와 원하이밍 중국 인민대학교 교수, 프랑스 야닉 브뤼느통 프랑스 파리 시테대학 교수 등 국내·외 전문가들과 불자(불교 신자) 100여 명이 함께했다.

'내면의 평화와 지속 가능한 미래'란 주제로 열린 이날 국제학술대회에서 눈길을 끈 야닉 브뤼느통 교수의 발표였다. 직지를 30여 년간 연구한 브뤼느통 교수는 직지의 저자 백운스님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여러 명에게 보낸 친필 편지 33편을 분석했다. 공민왕부터 해주목(海州牧)까지 당시 고려의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한 흔적이었다.

유창한 한국말로 강연한 브뤼느통 교수은 "'직지'의 내용만을 보면 임제종 조사 석옥청공 등 중국 선사들의 자료집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직지만 보고는 백운화상의 사상과 생애를 파악하긴 어렵다. 제가 하는 연구는 백운화상의 생애를 좀더 정확하게 파악하려는 시도"라고 설명했다.

브뤼느통 교수가 친필 편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백운스님은 세속적·정치적 목적으로 불교를 찾는 것에 대한 경계심을 보였다. 비록 고려의 국교가 불교였지만 호국불교 같은 국가종교로서 불교를 백운화상은 염두하지 않은 것이다.

브뤼느통 교수는 "백운스님은 불교는 도를 얻고 중생을 이롭게 하는 것이 본 목적이라고 봤다"며 "그는 선사로서 승려의 본분을 유지하기 위해 관직 같은 명예를 피했고 주지 자리를 주어져도 곧 사직하곤 했다. 그래서 행장 같은 생애의 기록이 명확하게 전해지지 않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논평자로 참가한 독일 한마음아카데이 혜유스님은 "이러한 서간문은 혼란한 고려 말 백운화상이 수행 본분을 통해 불교의 본래 정신을 대중에게 전하려고 했던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며 "'직지'라는 큰 유산에 가려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백운화상의 사상과 생애를 조명해 주신 점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화답했다.

clip20250927122937
clip20250927122948
황의중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