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北 최선희, 베이징에서 中 왕이와 회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8010015315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9. 28. 23:51

시진핑 방북 논의 가능성
한반도 문제 조율 관측 분석
왕이(王毅) 중국 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장관·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 겸임)이 28일 베이징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상을 만났다고 베이징 외교 소식통들이 전했다. 그러나 양자 간에 무슨 얘기가 오갔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clip20250928234522
왕이 중국 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이 28일 최선희 북한 외무상과 회담을 가졌다는 사실을 전한 한 매체의 보도. 최 외무상은 30일까지 베이징에 머물면서 시진핑 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과 면담할 기회를 가질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환추스바오(環球時報).
왕 위원 겸 부장의 초청으로 방중한 최 외무상은 이보다 앞서 지난 1∼5일에는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의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한 후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수행한 바 있다. 이처럼 약 3주 만에 다시 베이징을 찾은 최 외무상은 외견상으로는 대중 외교에 정신 없이 바빠 보이나 정작 2022년 6월 외무상 취임 이후 단독으로 중국을 방문한 적은 없었다. 이번이 처음으로 이뤄진 단독 중국 방문인 셈이다. 중국 외교수장인 왕 위원 겸 부장과의 대면 회동 역시 처음이다.

현재 북한은 다음 달 10일의 노동당 창건 80주년을 앞두고 대규모 열병식을 준비하고 있다. 여러 정황으로 미뤄볼 때 시 주석을 포함한 중국 고위급 인사의 방북을 요청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특히 시 주석의 방북을 강력하게 요청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만약 최 외무상이 시주석을 면담하게 될 경우 초청 의사를 전달할 것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 30일 귀환이 예정돼 있는 사실에 비춰볼 때 시 주석을 예방하고 북한의 입장을 전달할 가능성은 높다. 시 주석 역시 최 외무상과 면담에 나설 경우 초청을 거절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시 주석이 10월 일정이 숨가쁘게 이어질 것이라는 사실에 있다. 우선 국경절 연후가 끝나면 바로 제20기 4중전회(제20기 중앙위원회 4차 전체회의)를 주재해야 한다. 또 월말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면담을 위해 아시아태평양경제공동체(APEC) 정상회의가 열릴 한국으로 날아가야 한다. 방북 요청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 하더라도 일정을 소화하기가 빠듯하다.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들이 시 주석이 북한에 리창(李强) 총리의 방북을 대안으로 제시할 수도 있다는 분석을 내놓는 것은 이로 볼 때 나름 정곡을 찌른 것이라고 해야 한다.

최 외무상은 이외에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미중 정상이 만날 예정인 만큼 왕 위원 겸 부장 등과 한반도 관련 현안을 사전 조율할 가능성도 없지 않아 보인다. 꽉 막힌 남북 관계의 개선에 도움이 될 조용한 변화의 바람이 곧 서서히 불어올 것이라고 해도 좋을 듯하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