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배터리 작업 안전조치 안지켜
시스템 전원 긴급 차단 96개 손상
핵심서버 재설치·복구시점 불투명
李 "국민불편 최소화 모든 역량 집중"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28일 오전 9시 기준 관리원 7-1 전산실(520.84㎡)이 거의 전소됐다. 전산장비 740대와 배터리 384대가 불에 타면서 핵심 인프라가 사실상 무력화됐다. 정부는 전날 오후 9시 36분까지 전소된 배터리 384개를 모두 반출했다.
화재는 지난 26일 오후 8시 15분 발생했다. 당시 작업자 13명이 리튬배터리 이전 작업을 진행하던 중 불꽃이 튀며 발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과정에서 직원 1명이 화상을 입었다.
전산실 내부 온도가 급격히 올라 항온항습기가 멈췄고, 장비 훼손을 막기 위해 647개 시스템 전원이 긴급 차단됐다. 이로 인해 정부24, 국민신문고, 인터넷우체국, 복지로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다수 서비스가 중단됐다. 현재 항온항습기는 복구가 완료됐으며, 통신·보안장비 2346대도 재가동 중이다.
정부는 시스템 피해 규모를 당초 70개에서 96개로 정정했다. 1등급 12개, 2등급 58개 등 국가 주요 업무와 연결된 시스템이 물리적 손상을 입은 상태다. 이들 시스템은 대구센터 내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 복구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김광용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오늘 중으로 647개 서비스 가운데 551개를 순차적으로 재가동해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직접 피해를 입은 시스템의 정상화는 장기화가 불가피하다.
이번 사고는 국가 핵심 데이터센터의 '안전불감증'을 드러냈다는 비판을 낳고 있다. 리튬배터리 이전 과정에서 기본 안전 관리조차 지켜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재난 시 대체 시스템이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점도 도마 위에 올랐다.
정부는 정확한 화재 원인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는 동시에, 전산장비 교체 주기 단축과 이중화 확대,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 등 구조적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압박에 직면해 있다.
정치권 대응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오전 긴급 비상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정부의 신속한 시스템 복구와 가동, 국민 불편 최소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라"며 "납세 등 행정상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국민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챙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금융·택배·교통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민간과 긴밀히 협력하라"며 범정부 차원의 대응을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