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강나루 주막은 낙동강, 금천, 내성천 등 세 물길이 만나는 곳에 들어선 나루터를 배경으로 1900년경부터 2005년까지 100년 이상 운영돼왔다. 주막 건물은 정면 2칸, 측면 2칸 규모의 초가집 구조다. 1934년 갑술년 대홍수를 겪었으나 크게 변형되지 않고 원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삼강나루 주막은 손님을 맞이하기에 좋은 구조로 돼 있다. 주인이 거처하는 주모방, 손님이 머무는 방이 각 1칸씩 있고, 뒤쪽으로 부엌 1칸과 마루 1칸을 두고 있다. 부뚜막에서 각 방으로 연결되는 아궁이가 따로 연결된 독립된 구들 난방 형식이다.
삼강나루 주막은 주막의 역사와 전통이 남아있어 주목할 만하다. 주모방에서 오갈 수 있는 부엌 위쪽 다락에는 홍수나 화재로부터 화를 면하고, 무탈하길 바라는 성주단지가 있다. 성주단지는 집의 건물을 수호하는 가신(家神)을 모신 단지를 뜻한다.
마을을 지켜주는 신에게 주민들이 함께 지내는 제사인 동제(洞祭) 전통을 엿볼 수 있는 동신목(洞神木)이 남아있으며, 삼강나루를 위한 의례도 지낸 사실도 확인된다. 동신목은 마을의 안녕과 평화를 지켜준다고 여겨 보호해 온 나무를 칭한다.
또, 뱃사공이 하나둘 떠난 뒤 1972년부터 나룻배를 직접 운영하기 위해 마을에서 결성한 모임인 '삼강도선계'(三江渡船契) 관련 기록도 보존돼 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나루와 주막의 역사와 민속을 총체적으로 재구성해 이해할 수 있는 유산으로서 가치가 크다"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예고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검토한 뒤,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을 확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