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정부, 美관세 대응 위한 의약품 수출 기업 긴급 간담회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9010015681

글자크기

닫기

이세미 기자

승인 : 2025. 09. 29. 13:42

USA-TRUMP/PHARMACEUTICAL <YONHAP NO-2657> (REUTERS)
연합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의약품 수출 기업인 SK바이오팜,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5개사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과 긴급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주재로 진행된 간담회는 미국 관세 부과 동향에 따른 기업들의 애로사항 청취를 통해 실질적인 정부의 기업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내달 1일부터 미국 내 제약공장을 짓고 있거나 착공중이지 않는 한 의약품에 100% 품목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관세 피해기업들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 13조6000억원의 긴급 경영자금과 역대 최대 270조원의 무역보험을 공급하고, 물류비 지원 2배 확대(3000만→6000만원) 등 수출바우처 지원과 해외 전시회&#8231;사절단 지원 대상 확대 등 대체시장 개척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해외 진출 거점 구축 및 컨설팅 지원, 글로벌 마케팅 비용, 운송비 등 수출부대비용 지원,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확대 등 바이오헬스 산업 글로벌 진출을 위한 수출 특화 지원 예산을 내년도 정부안에 대폭 확대 반영(349억원)해 미국 관세 부과 등 어려운 대외 여건을 겪고 있는 수출 업계를 총력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범부처(보건산업진흥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바이오헬스 분야 수출피해 지원체계 활용해 관세로 인한 피해사례 파악 후, 필요한 지원이 가능한 기관으로 기업을 연계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 관계자들은 미국 정부의 품목관세 부과시 기업 부담 증가, 수출 경쟁력 약화 등을 우려하며 미국 시장 진출 지원 확대 및 수출국 다변화 전략 지원 등 정부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간담회에서 "미 정부의 관세부과확정시 우리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 지원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대외적인 위기속에서도 의약품 수출 호조세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민관이 협력하여 관세 대응에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세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