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피해 96개 시스템, 대구 이전 구축에 최대 4주
|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아직 복구되지 않은 많은 시스템으로 국민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드려 송구하다"며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은 96개 시스템은 대구 민관협력 클라우드 구역에 설치할 예정이며, 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 등 총 4주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대구센터 입주 기업의 협조를 통해 일정을 최대한 앞당길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복구된 시스템 가운데 1등급 업무는 16개로, 전체의 44.4% 수준이다. 정부는 장기간 중단이 예상되는 서비스에 대해 오프라인 대체 창구를 운영하고 있다. 국민신문고와 통합보훈 민원은 방문·우편 접수로, 국가법령정보는 국회 입법 시스템으로 우회 이용할 수 있다. 재산세 등 세금 납부와 서류 제출 기한은 연장되고, 오프라인 발급 수수료도 전액 면제된다. 또 110·120 콜센터와 네이버·다음 포털을 통해 대체 수단을 안내하고, 각 기관은 '민원 전담 지원반'을 가동해 긴급 상황에 대응하고 있다.
화재 원인을 둘러싼 무자격 업체 투입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과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김 차관은 "배터리 이전 준비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했는데 당시 작업자는 자격을 갖춘 전문 기술자이자 화재 부상자였다"며 "무자격자가 투입됐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