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기후위기의 가장 큰 피해자"
"제도적 지원 필요… 국회가 나설 것"
|
위 의원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0간담회실에서 열린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탄소중립, 농업 분야 재생에너지에서 해법 찾는다' 포럼에 참석해 이같은 개회사를 전했다.
이번 포럼은 국회 기후위기 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는 위 의원이 주최하고, 전국 12대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가 주관했다.
위 의원은 "이상기후로 인한 작황 불안정과 농촌의 에너지 비용 부담은 농민들에게 무거운 짐이 되고 있다"며 "농업은 기후위기의 가장 큰 피해자이자 동시에 가장 큰 해법을 품고 있는 분야"라고 설명했다.
위 의원은 농업·농촌 탄소중립 해법으로 '영농형 태양광'과 '가축분뇨 고체연료화'를 꼽았다.
그는 "영농형 태양광은 농지를 지키면서도 에너지를 생산해 농가 소득을 높인다"며 "가축분뇨 고체연료화는 악취와 수질오염을 줄이는 동시에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새로운 에너지 자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필요한 것은 제도적 뒷받침"이라며 "경제성과 주민 수용성을 높이고, 재생에너지 전환이 농업의 새로운 기회로 연결되도록 국회가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