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일부 기능 이관…경력단절 예방 등 업무 총괄
|
여가부는 '정부조직법 개정안' 시행과 함께 '성평등가족부'로 출범한다고 30일 밝혔다. 이에 따라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이 초대 성평등가족부 장관을 맡는다.
가장 큰 변화는 '성평등정책실' 신설이다. 해당 실 아래에는 성평등정책관, 고용평등정책관, 안전인권정책관 등 3개 관이 배치된다. 기존 여성정책국은 성평등정책관으로 바뀌어 성평등 정책의 기획·조정·평가, 성인지 교육, 성별영향평가, 차별 제도 개선 등을 총괄하게 된다.
신설되는 고용평등정책관은 고용노동부에서 이관된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성별 근로공시제 등을 비롯해 여성 경력단절 예방, 여성 경제활동 촉진 정책을 전담한다. 성별 임금격차 해소 역시 주요 업무로 포함된다.
기존 권익증진국은 안전인권정책관으로 개편돼 성희롱·성폭력·디지털 성범죄·가정폭력·스토킹 등 폭력 대응 전반을 맡게 된다. 특히 '가정폭력스토킹방지과'는 '친밀관계폭력방지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일상에서 발생하는 관계 중심 폭력을 보다 구체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조직 체계도 전면적으로 재편됐다. 기존 2실 2국 3관 체계에서 3실 6관 체계로 개편되며, 과 단위 조직도 27개에서 30개로 늘었다. 기준 정원도 277명에서 294명으로 확대됐다. 새 조직에는 성평등정책실 외에도 청소년가족정책실, 기획조정실, 정책보좌관 등이 포함된다.
성평등가족부는 출범 당일인 10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현판식을 진행할 계획이다.
원민경 장관은 "우리 사회의 성평등 수준이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성별 임금 격차, 젠더폭력에 따른 안전 격차, 성평등에 대한 청년 세대의 인식 격차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성평등가족부는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고, 성평등 가치를 사회 전반에 확산해 국민 모두의 삶에 기여하는 부처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