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 계좌 개설·휴대전화 개통 등 본인확인 업무 정상화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인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30일 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10시 기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가운데 87개가 복구됐다"며 "특히 1등급 핵심 업무 36개 중 21개가 정상화돼 복구율은 58.3%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정부24, 주민등록, 모바일 신분증 등 대국민 서비스가 우선 복구되면서 민원 처리의 큰 혼란은 피했다.
다만 화재 피해가 집중된 5층 전산실 중 7-1실에 있던 96개 시스템은 직접 피해를 입어 정상화까지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정부는 대구 민관협력 클라우드센터로 이전을 추진하며 민간 기업과 협력해 복구 일정을 앞당기고 있다. 나머지 5층 전산실의 시스템은 분진 제거가 끝나는 대로 재가동할 계획이다. 김 차관은 "일부 시스템은 여러 기관과 연계돼 있어 예상보다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지자체 현장점검 결과 주민등록, 인감, 여권 등 국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민원 서비스는 정상화됐지만, 부동산 거래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일부 기능은 여전히 장애가 이어졌다. 이 때문에 주민센터를 직접 찾아 수기로 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행안부는 지자체 전담지원반을 운영해 현장 소통을 강화하고, 복구 상황과 대체수단을 신속히 안내한다는 방침이다.
국민 생활의 불편을 가중시켰던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도 이날 오후 1시부터 재개됐다. 이 서비스는 은행·증권사 등 금융기관이나 통신사에서 신분증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로, 신규 계좌 개설이나 휴대전화 개통 시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화재로 인해 행정기관에서는 진위확인이 가능했지만 금융기관의 대면·비대면 본인 확인은 제한된 상태였다.
정부는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산망 복구와 함께 대체수단을 보완하고, 민관 협력을 통해 피해 시스템의 이전과 정상화를 서두른다는 계획이다.
김민재 차관은 "이번 장애로 국민께 불편을 드린 점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드린다"며 "상황 안정과 신속한 복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