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압 배터리 수리 가능 거점은 9곳에 불과
판매 10만대 돌파에도 사회공헌·인프라 확충은 뒷전 지적
|
테슬라는 배터리 보증이 남아있는 문제 차량을 대상으로 신품 또는 중고 배터리로 교체를 진행하고 있으나,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테슬라코리아에서 제출받은 'BMS 수리 내역'에 따르면 서비스 거점 부족으로 수리까지 평균 3주 이상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현재 전국에 14곳의 서비스센터를 운영 중이다. 이 가운데 고전압 배터리 수리가 가능한 곳은 9곳에 그친다. 이는 올해 국내에 진출한 BYD(현재 15곳, 연내 25곳으로 확대 예정)보다도 적은 수준이다. 차량 판매 증가 속도에 인프라가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반면 테슬라의 국내 판매는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 8월 기준 국내 테슬라 등록대수는 10만대를 돌파했다. 2017년 국내 진출 이후 7년 만의 성과지만, 판매 확대와 달리 서비스망 확충은 여전히 거북이걸음이라는 지적이다.
보증 정책과 수리비도 소비자 불만을 키우는 요인이다. 테슬라의 배터리 보증기간은 모델 3와 Y RWD 기준 8년 또는 16만㎞, 롱레인지와 퍼포먼스는 8년 또는 19만2000㎞다. 현대차·기아가 전기차 고전압 배터리를 10년 또는 20만㎞까지 보증하는 것과 대비된다. 보증 기간이 끝난 테슬라 차량에서 BMS 문제가 발생하면 소비자는 모델 Y 기준 약 3500만원에 달하는 비용을 모두 부담해야 한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테슬라는 2017년 국내 진출 이후 단 한 차례도 기부금 출연이나 사회공헌 활동을 진행하지 않았다. 판매량은 꾸준히 늘고 있지만, 지역사회와 공존하기 위한 노력은 부족하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가 전기차 대중화를 이끈 상징성은 분명하다"면서도 "서비스센터 부족, 짧은 보증기간, 높은 수리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소비자 불신이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서비스 인프라 확충과 함께 사회적 책임 이행도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