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러, 점령지 편입 3년 자축…“더 많은 주민이 원한다” 주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01010000103

글자크기

닫기

남미경 기자

승인 : 2025. 10. 01. 09:14

영웅 담론·재건 성과 내세워 '장기전 명분화'
화면 캡처 2025-10-01 090519
푸틴 러시아 대통령 /스푸트니크 AP 연합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점령지 편입 3주년을 맞아 자축 분위기를 연출하며, 현지 주민들이 러시아 귀속을 원한다는 주장을 반복하고 나섰다. 이는 전쟁 장기화를 정당화하고 점령지 지배력을 공고히 하려는 정치적 메시지로 해석된다.

푸틴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재통합의 날'을 기념한 영상 메시지에서 도네츠크·루한스크·자포리자·헤르손 점령지에 배치된 군인을 "우리 시대의 진정한 영웅"이라 치켜세우며 "모든 계획이 실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러시아의 안보가 굳건히 유지되고, 돈바스와 노보로시야(우크라이나 남동부 흑해 연안 지역)에 평화가 찾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는 2022년 9월 점령지 병합 협정을 체결하기 전 주민투표에서 압도적 찬성이 나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국제사회는 불법 점령과 투표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다. 북한·시리아·니카라과 등 일부 국가만 러시아의 편입을 승인했다.

그럼에도 러시아는 점령지 내 복구·재건 성과를 부각하며 정당성을 홍보하고 있다. 러시아 언론에 따르면 2022년 이후 학교·병원·도로 등 2만3000건이 넘는 인프라 프로젝트가 추진됐고, 주민들에게 연금과 사회복지 혜택을 제공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최전선 인근 지역은 포격과 전력·수도 공급 차질로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다.

크렘린궁 대변인 드미트리 페스코프는 "오데사와 미콜라이우 등 다른 지역에도 러시아와 운명을 함께하길 원하는 주민이 많다"고 주장했다. 러시아가 임명한 헤르손 주지사 역시 "추가 주민투표가 열리면 찬성이 우세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사회는 이러한 주장을 러시아의 전쟁 명분화 전략으로 본다. 점령지 주민이 러 귀속을 원한다는 논리는 침공과 병합을 합리화하고 향후 군사적 확장 가능성까지 열어두려는 정치적 수사라는 평가다.
남미경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