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체계 대전환"
"탄소중립산업, 국가 신(新)성장동력으로 육성"
|
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후부 공식 출범식에서 "그동안 기후정책 총괄 기능은 환경부에 있었고 감축수단은 산업부에 있다 보니 실질적인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웠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김 장관을 비롯해 기후부 소속·산하기관장 등 600여 명이 참석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제는 기획과 실행을 하나의 부처에서 하게 된 만큼 전력, 산업, 수송, 건물, 생활 전 분야에서 탈탄소 녹색 대전환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며 "올해 11월 유엔 기후변화당사국 총회에 제출할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는 진전의 원칙, 헌법에 명시된 국민 환경권, 미래세대의 지속가능한 삶을 고려해 책임있는 목표를 국민과 함께 설정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또 "시장 메커니즘과 민간의 창의와 역량을 반영해 실효적인 탈탄소 전략을 추진하겠다"면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는 유상할당 비중을 확대하고 증가한 할당 수입금을 기업 탈탄소 전환에 재투자해 감축 노력이 기업의 이익으로 직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조성하겠다"고 언급했다.
김 장관은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체계 대전환도 강조했다. 그는 "재생에너지는 세계적으로 이미 가장 값싸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이 됐지만 우리는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재생에너지 최하위 국가에 머물러 있다"면서 "따라서 현재 누적 34기가와트 수준의 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가능한 100기가와트 수준까지 대폭 늘리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늘어난 재생에너지는 햇빛 연금, 바람 연금, 마을 연금 형식으로 국민들에게 소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며 "이를 위해 화석에너지 중심 전력망도 재생에너지 중심 지능형 전력망으로 대전환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탄소중립산업을 국가 신(新)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면서 "제조업 강국인 대한민국이 태양광, 풍력, 전기차, 배터리, 히트펌프, 가상발전소(VPP) 등 탄소중립산업 부문에서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김 장관은 극한 이상기후에도 국민 안전에 한 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기후 안전망을 구축하는 한편, 깨끗한 물과 푸른 하늘을 비롯해 풍요로운 자연환경 및 화학안전 등 앞으로도 고품질 환경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