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030년 선원 없는 선박 시대 온다…정부, AI선박·드론 개발 속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01010000146

글자크기

닫기

성남 이정연 기자

승인 : 2025. 10. 01. 12:09

완전 자율비행 드론도 2031년 개발 목표
구윤철 "생존 위한 필수전략…모든 역량 뒷받침"
선박사진
1일 경기 성남시 HD현대 글로벌 R&D 센터에 자율운항선박 조종실 모형이 전시돼있다./이정연 기자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선원 탑승이 필요 없는 수준의 AI 자율항해 기술 개발과 2031년까지 AI 드론의 완전 자율비행 기술 개발을 목표로 'AI 드론 5대 완성체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인공지능(AI) 기반 선박 및 드론 기술 혁신을 국가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으로 규정하고, 우리나라 기업들이 협력적인 생태계를 구축해 세계적으로 관련 기술을 선도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일 경기도 성남시 HD현대 글로벌 R&D 센터에서 'AI 선박·드론'분야 대표기업 및 관계부처와 함께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 8월 발표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의 AI 대전환 선도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AI 선박 2030년 '선원 미탑승' 목표…1800억달러 시장 선점 노린다
AI, IoT 등 첨단기술이 결합된 자율운항 선박 시장은 인적 해양 사고 최소화 및 해운 인력 수급 부족 완화에 기여할 핵심 미래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 시장규모는 지난해 1022억 달러에서 2032년 1805억 달러로 10년간 76%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는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2030년까지 연안 선박의 '선원 미탑승'(레벨3) 기술 개발을 목표로 내걸었다. 기업들이 현재 레벨3인 대양 선박 기술은 '완전 자율'(레벨4)로 진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는 AI 기반 최적 항로 판단 자율항해, 자율 수명 예측 기관 자동화, AI 모니터링 화물·항만 연계 시스템 개발을 중점 추진한다. 이같은 기술 확보를 통해 해양 사고의 83%를 차지하는 인적 해양 사고를 최소화하고, 운용 비용을 22% 이상 절감하며 물류 흐름을 10% 이상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총사업비 약 6000억원 규모의 완전 자율운항선박 개발 2단계 R&D 사업을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추진하며, 2026년부터 2029년까지 국비 300억 원 규모의 연안 선박 대상 대규모 실증사업을 실시해 공공 데이터셋을 확보한다.

정부는 올해 4분기부터 조선소, 해운사, AI 기업 등 연관 업종이 참여하는 민관 협력체인 'K-자율운항선박 얼라이언스'를 출범해 기술 개발, 데이터 확보, 해상 실증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신기술 실증을 위한 규제도 선제적으로 완화한다. 올해 하반기에는 자율운항선박 운항 해역이 지정되어 규제 특례가 적용되며, 육상 원격운항 등 실증을 위한 규제 샌드박스도 지속 활용된다. 특히, 올해 하반기 'AI 지능형 자율운항 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추가 지정하고, R&D 30~50%, 시설투자 20~30%의 파격적인 세제 혜택을 지원할 계획이다. 국제해사기구(IMO)의 국제표준 제정에 적극 대응하는 등 표준화 작업도 추진한다.

◇AI 드론도 2031년 '완전 자율비행' 목표…5대 완성체로 국산화·경쟁력 확보
단체사진3
1일 경기도 성남시 HD현대 글로벌 R&D 센터에서 'AI 선박·드론'분야 대표기업 및 관계부처와 함께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 간담회'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이정연 기자
AI 드론은 실시간 판단·반응하는 피지컬 AI로,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적 육성이 시급하다. 현재 국내 드론 산업은 국산 기체 및 부품 비중이 미흡해 성장 정체 국면에 직면해 있다.

정부는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2031년까지 5단계 '완전 자율비행'(AI가 스스로 판단·제어하는 E2E 방식) 기술 개발을 목표로, 'AI 기반 드론 5대 완성체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정부는 활용도가 높은 소방, 항공, 물류, 시설 관리, 농업 5대 분야를 선정해 드론 하드웨어부터 임무수행 AI·소프트웨어까지 완성체를 개발하고 상용화를 지원한다. 소방 분야에서는 산불 확산·진압 경로 생성 및 내화·내풍 기능이 탑재된 고중량 재난 대응 기체 개발을, 물류 분야에서는 자율비행 기능이 탑재된 장거리(100km 이상) 스마트 물류용 기체 개발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자동 자세제어 모터 등 핵심 부품과 디지털 트윈 맵핑 등 범용 AI 핵심 기술 상용화를 지원하여 국산화율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정부는 민관 협력체인 '드론산업 얼라이언스'를 운영하며 산업계 맞춤형 정책을 발굴하고, '스마트 드론팩토리' 구축 등을 통해 드론 전용 제조 기반을 확충한다. 신기술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한 '차세대 드론 핵심인재' 양성 체계도 마련했다. 또한, 규제 합리화를 통해 야간·비가시 특별 비행 승인 요건 개선 및 드론 전용 비행 실증 공역 확대 등 혁신과 공공안전 확보를 병행할 예정이다.

구 부총리는 간담회에서 "AI 기반 선박·드론 혁신은 기존 산업 생태계의 판도를 바꾸는 게임체인저이자 생존을 위한 필수전략"이라며 "우리의 세계 최고 수준 IT, 반도체, 조선 산업 역량을 AI와 결합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도록 정부가 총력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정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