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국방 실현 과제로 스마트강군·방위산업 육성·군 장병 처우 개선 꼽아
|
이 대통령은 이날 충남 계룡대 대연병장에서 진행된 77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 참석한 자리에서 "스스로 만드는 무기 하나 없이 우방국의 무기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최첨단 전차와 자주포, 전투기, 잠수함을 수출하는 방위산업 강국으로 거듭났다"며 "그 누구도 감히 우리의 주권을 넘볼 수 없는 불침(不侵)의 나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세계 5위의 군사강국,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의 연대 및 협력, 굳건한 한미 동맹과 그에 기반한 확고한 핵 억지력 등을 언급하며 "대한민국의 국방력에 의문을 가질 이유도 없고 불안에 떨어야 할 이유는 더더욱 없다. 국방력에 대한 높은 자부심과 굳건한 믿음에 기초해 강력한 자주국방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강력한 자주국방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스마트 정예강군 재편 △방위산업 적극 육성 △군 장병들의 처우 개선 등 3가지 추진 과제를 이행할 것을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미래전은 '사람 없는 전쟁터'가 되리라 예측하는 만큼 병력 숫자에 의존하는 인해전술식 과거형 군대로는 부족하다"며 "AI 전투로봇, 자율드론, 초정밀 고성능 미사일 등 유무인 복합 첨단 무기체계를 갖춘 부대가 그 해법"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스마트 정예강군 재편을 위해 전년대비 8.2% 늘어난 내년 국방예산 66조 원을 편성해 AI, 드론, 로봇 등 첨단기술에 집중 투자하고 첨단 항공엔진, 스텔스 기술 등 국방 전략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도 대폭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동시에 전시작전통제권을 회복해 대한민국이 한미연합방위태세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방산기술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방산 생태계 조성을 위한 다각적 지원, 군초급·중급 간부들의 복무 여건과 보상 체계 등 처우 개선을 통한 사기 진작도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창끝 전투력의 핵심인 초급 간부들의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군의 든든한 허리인 중견 간부들의 직업 안정성도 높이겠다"며 "부상 장병에 대한 지원과 예우도 강화해 '부를 땐 국가의 자녀, 다치면 나몰라라'라는 자조 섞인 한탄이 더 이상 통용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 대통령은 우리 군이 헌법 정신과 민주주의 가치로 무장할 것을 주문했다.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참다운 '국민의 군대'가 될 때 우리 군은 더욱 압도적인 힘을 갖추게 될 것"이라며 "권력이 아닌 국민을 지키는 데 전력을 다하고 국민의 뜻에 따라 나라의 평화와 번영을 지키는 정예 강병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작년 12월 3일 극히 일부 군 지휘관들은 군 본연의 임무를 망각한 채 최고 권력자의 편에 서서 국민을 향해 총부리를 겨눴다"며 "국민을 지켜야 할 군대가 국민을 향해 총을 겨누는 일은 앞으로, 어떤 경우에도, 결단코 있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