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행안부, 예산·인력 쏟아붓는다…11일까지 복구 목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02010000970

글자크기

닫기

설소영 기자

승인 : 2025. 10. 02. 11:05

ETRI 인력 현장 투입…PPP 클라우드로 시스템 이관 추진
장비 분해→청소→재조립 병렬처리…5일까지 1차 복구
전원장치 복구 기간 1개월→10일로 단축
PYH2025100116600001300_P4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행안부 차관)이 1일 정부세종청사 민원동 공용브리핑실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문인력과 예비비까지 동원하며 시스템 정상화 시점을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행정안전부(행안부)는 지난 1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현장상황실에서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과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이 행정정보시스템 복구 방안을 논의했다고 2일 밝혔다.

하 수석은 "민간 경험을 바탕으로 복구 속도 단축을 위한 다양한 제안을 했다"며, 빠른 복구가 국가 신뢰 회복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김 1차장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들과 협의해, ETRI 전문 인력 4명을 현장에 즉시 파견하기로 결정했다.

복구의 핵심인 5층 전산실 분진 제거도 가속화된다. 분진 제거 작업은 장비 분해?청소?재조립?재배치의 순서로 이뤄지며, 현재 전국 서버 전문 청소업체가 최대치로 투입되고 있다. 기존 2주 소요 예정보다 절반 이상 단축해, 오는 5일까지 완료한다는 목표다.

또한 화재로 인해 손상된 전원장치도 보통 한 달 이상 걸리는 수리기간을 10일 이내로 단축해 오는 11일까지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직접 피해를 입은 7-1전산실 내 시스템들은 대구센터 내 민관협력형 클라우드(PPP) 구역으로 이전된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서비스 사업자 인력을 보강하고, 전국의 숙련된 기술자를 섭외해 단계적으로 투입한다. 예산 부족은 예비비로 충당된다.

행안부는 복구 작업과 병행해 AI인프라의 구조적 개선도 추진한다.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산하 'AI 인프라 거버넌스 혁신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인프라 전반에 대한 점검과 함께 단기·중장기 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김민재 중대본 1차장은 "이번 장애의 극복이 국가 정보자원 인프라 혁신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설소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