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시장 확대 우려…6개 주 이미 금지
|
싱가포르 매체 채널뉴스아시아에 따르면 이날 말레이시아 보건부는 "청소년의 전자담배 및 불법 약물 혼합 액상 이용 적발 사례가 늘고 있다"며 "이를 국가적 공중보건 위기로 규정하고 전자담배 판매와 사용을 금지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전자담배 금지 여부는 이미 결론 난 사안이며 이제 시행 시작 시기를 논의할 단계"라며 "이번 조치가 2040년까지 '담배없는 나라'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보건부는 올해 1~ 5월 약물 혼합 전자담배 액상 압수는 136건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또 2022년 보건질병조사에서는 말레이시아 청소년의 14.9%가 전자담배를 사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줄케플라이 아흐마드 보건부 장관은 지난달 25일 "전자담배 전면 금지는 불가피하다"며 2026년 중반까지 전자담배를 금지하겠다고 이미 예고했다.
지방정부 차원의 전자담배 규제도 확산되는 분위기다. 페락주정부는 지난 1일 모든 사업장에서의 전자담배 판매를 내년 1월부터 금지하겠다고 발표했다. 케다·클란탄·페를리스·트렝가누·조호·파항 등 6개 주에서는 이미 유사한 조치가 시행 중이다.
전문가와 업계는 전면 금지에 따른 역효과를 우려하고 있다. 공중보건 전문가 샤리파 에자트 완 푸테는 "불법 시장을 키울 수 있다"며 "이미 시행 중인 '공중보건을 위한 흡연제품 규제법(액트852)'을 강화하고 집행력을 높이는 것이 우선"이라고 조언했다.
해당 법안은 담배·전자담배·흡연기기의 판매·포장·라벨링을 규제하며 교육기관 등 공공장소 금연과 온라인·자판기 판매 금지 조항 등을 포함한다.
말레이시아 전자담배 소매협회(MRECA)는 "합법 사업자만 피해를 보게 된다"며 반발했다. 아즈완 압 마나스 MRECA 회장은 "문제의 본질은 약물 남용에 있다"며 "합법 산업은 보호하고 불법 판매자 단속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건부가 여전히 전자담배 제품 등록을 받고 있어 '모순된 태도'라는 비판도 나온다. 이에 보건부는 "현행 법률에 따라 등록은 여전히 가능하며 전면 금지 절차가 완료되기 전까지 법적으로 허용된다"고 해명했다.
현지에서는 2015년 진통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마약성 식물 '크라톰(Kratom)' 금지법안 도입이 무산된 때와 같이 정치적 변수가 작용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당시 의회의 여야 의원들 사이에서는 크라톰이 말레이계 사회에서 널리 사용된다는 이유로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말레이계는 말레이시아 인구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유권자 집단이다.
전자담배 판매 제한 대상인 6개 주 가운데 4곳이 범말레이시아이슬람당(PAS)의 영향력이 강한 지역이다. 이 때문에 전자담배 전면 금지 정책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