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사제 질의, 의협 대변인 출석 요구
비대면 진료 제도화·응급실 뺑뺑이 질의도
|
12일 의료계에 따르면 오는 14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을 시작으로 오는 30일 종합감사까지 19일 동안 진행되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감 일정이 시작된다.
지난달 말 복지위 전체회의에서 확정된 올해 국감 증인·참고인 명단에는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과 유청준 전국전공의노동조합 위원장이 참고인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전공의들이 요구해 온 수련환경의 개선안을 논의하기 위해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이 신청한 참고인이다.
지난달 복지위는 전공의의 연속 수련 시간을 최대 36시간에서 24시간으로 단축하는 내용을 담은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 일부 개정안을 의결했지만, 80시간인 주 평균 수련시간 상한이 유지되는 등 아직 미흡한 점이 남았다는 것이 전공의들의 의견이다.
대전협은 개정안 통과 직후 입장문을 통해 "주 평균 수련시간 상한 단축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며 "법을 준수하지 않았을 때 수련기관에 실질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성근 대한의사협회(의협) 대변인 또한 참고인 명단에 포함됐다. 김 대변인의 경우, 이재명 정부가 주요 의료정책으로 내건 지역의사제와 공공의료사관학교(공공의대)에 대한 의료계의 의견을 듣기 위해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출석을 신청했다.
의협은 지역의사제가 직업 선택 및 거주 이전의 자유를 침해할 여지가 있다는 점을, 공공의대 설립에는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두 정책에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특히 정부가 명확한 설계와 사회적 합의 없이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해 온 만큼 이번 국감에서도 그 목소리를 키울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올해 복지위 국감에서는 다른 의료계 현안도 다룰 전망이다. 비대면 진료 제도화와 관련해 최보윤 국민의힘 의원이 김미영 한국1형당뇨병환우회 대표와 이윤지 한국당원병환우회 공동대표를 참고인으로 신청했다. 또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성현 119 구급대원을 참고인으로 부르며 응급실 뺑뺑이 실태 및 응급의료체계 개편과 관련된 질의가 이뤄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