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외교부는 가장 빠르게 수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회 외통위 소속 여야 의원들은 우리 국민의 신변 위협 등 안전 문제에 대한 외교부의 대응을 한 목소리로 지적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은 "캄보디아에서 우리 청년의 안타까운 죽음에 있어서 외교부에 커다란 책임이 있다는 말씀을 드리지 않을 수 없다"며 "7월 17일에 청년이 출국하고 하순쯤 가족이 협박 전화를 받았다며 경찰과 캄보디아 한국대사관에 신고했는데 이에 대한 조치가 없어 이렇게 안타까운 죽음을 방치한 결과로 이어졌다"고 비판했다.
윤후덕 민주당 의원은 "캄보디아에서 2023년에는 납치·감금 같은 사건이 21명 정도였는데 지난해에는 221명으로 10배 늘었고 올해 8월 말에 보니 330명으로 15배 늘었다"며 "외국에 한국인이 1명만 납치 감금당해도 전용기를 보내서 모시고 오는 대한민국인데 300여 명이 감금된 상태에서 현지에 대사도 없고 지금 외교부 장관은 뭐 하고 있는 것이냐"라고 짚었다.
이용선 민주당 의원도 "캄보디아에서 관련 범죄가 최근 2년 사이에 폭증하는데 외교부의 조치와 대응이 보이지 않는다"며 "캄보디아 정부가 협조하지 않고 있다는 핑계를 대는데 아무런 실적과 성과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심각한 직무유기라고 보여진다"고 했다. 이어 "필리핀에는 경찰 주재관과 코리안데스크 등 인력이 배치돼 있는데 캄보디아는 경찰 주재관이 1명, 안전 담당 영사가 1명 정도"라며 "상황을 보면 두 나라에 주재된 관련 담당자가 거꾸로 뒤집힌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캄보디아 내 안전 담당 영사 인력 부족 문제에 대해 조 장관은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처리토록 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캄보디아 내 한국인 피해가 급증한 것을 중심으로 여행금지구역으로 지정한 사실을 언급하면서 "추가로 특단의 대책을 시행해서 필요한 조치를 캄보디아 정부와 (협의)하겠다"고 했다.
조 장관은 주캄보디아 대사가 공석인 상황에 대해선 "(현지 인력 배치에 대해서는)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하겠다"고 했다. 다만 "공석 문제는 여러가지 복합적 요인 있어 일일이 다 말씀하기 곤란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