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동의 요구 아니라 이해 확인하는 것"
|
불응하겠다고 밝힌 언론사에는 뉴욕타임스(NYT), 워싱턴포스트(WP), 월스트리트저널(WSJ), CNN, 뉴스맥스, 애틀랜틱 등 유력 매체가 다수 포함됐다.
이들 언론사의 법률대리인들이 입수한 21쪽 분량의 새 정책 문건에는 언론인이 국방부의 승인 없이 당국의 정보를 공개하는 등의 행위를 하면 이를 '안보 위험'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조항 등이 담겨 있다고 NYT가 보도했다.
법률대리인들은 이런 제한이 언론의 자유와 상충된다며 이 때문에 기자들이 일상적인 보도를 하는 과정에서도 처벌을 받을 수 있는 위험이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제프리 골드버그 애틀랜틱 편집장은 13일 성명을 통해 "우리는 트럼프 행정부가 국방 및 국가 안보 문제를 보도하는 기자들에게 부과하는 제한에 근본적으로 반대한다"며 언론사들이 국방부 문서에 서명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이런 요구 조건은 수정헌법 제1조에 명시된 우리의 권리와 납세자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군사 자원 및 인력이 어떻게 배치되는지 알고자 하는 미국인의 권리를 침해한다"고 지적했다.
국방부 출입기자들을 대변하는 언론협회도 같은 날 성명을 내고 "국방부 기자단의 협회 회원 대부분은 국방부 직원을 억압하고 사전 승인 없이 정보를 취재하는 기자에게 보복하겠다고 위협하는 이 정책을 인정하느니 차라리 기자 출입증을 반납할 가능성이 높다"며 국방부에 정책 시행을 재고할 것을 촉구했다.
WSJ에 따르면 국방부 기자들은 그동안 기밀 구역을 제외한 내부 시설 대부분을 자유롭게 통행해왔으나 올해 초부터 그 영역이 제한됐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은 13일 자신의 X(옛 트위터)에 손을 흔드는 모양의 작별 이모티콘을 사용하며 WP, 애틀랜틱, NYT가 서명을 거부한다고 밝힌 성명을 공유했다.
손 파넬 국방부 대변인은 13일 "이 정책은 기자들에게 동의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정책이 뭔지 이해했음을 확인하라는 것일 뿐"이라며 "언론사들이 정책을 변경하려 하며 정책에 서명하기를 거부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X에서 "국방부 건물 출입은 권리가 아니라 특권"이라며 "국방부는 그 특권의 행사에 대해 합리적인 규제를 부과할 법적 권한과 도덕적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국방부 출입 자격이 있는 기자는 100여명이며 실제 매일 방문하는 이는 극소수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