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정무위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한 김 대표는 "사전예방 조치 등 여러가지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해 고객들을 불안하게 만들어 죄송하다"며 "앞으로 혁신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무단 소액결제 사태와 관련한 KT의 늑장 대응을 두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김 의원은 "8월 5일 불법 소형 기지국에서 최초 피해가 발생했지만, 경찰이 KT에 피해 사실을 통보한 것은 한 달 뒤인 9월 1일이었다"며 "그동안 피해가 계속됐는데 KT는 이를 부인했고 언론 보도 이후에야 뒤늦게 소액결제 차단 조치를 시행했다"고 지적했다. 또 "피해자들에게는 '소액결제 피해는 있었지만 개인정보 유출은 없었다'는 식의 무책임한 답변만 돌아왔고, 피해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도 복잡했다"며 "결국 362명의 피해자가 발생했고 피해 금액은 2억4000만원에 달했다"고 질타했다.
김 의원은 KT가 전체 고객이 아닌 소액결제 피해 고객에게만 관련 사실을 통지한 점도 꼬집었다. 그는 "소액결제 피해가 있었지만 개인정보 유출은 없다고 한 것은 때렸지만 폭행은 아니라는 이야기나 다를바 없다"며 "왜 전체 고객에게 통지하지 않았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김 대표는 "전체 고객에게 통지할 경우 불필요한 불안을 초래할 수 있어 신중히 판단했다"고 해명했지만, 김 의원은 "KT의 무책임한 경영과 대응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재차 비판했다.
한편 김 대표는 오는 21일 예정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무단 소액결제 및 해킹 사태 등에 대한 여야 의원들의 질의에 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