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9월 가계대출 증가량 3.6조원 축소됐다…6·27 대책 효과 본격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6010004868

글자크기

닫기

임우섭 기자

승인 : 2025. 10. 16. 12:00

금융권 가계대출, 8월 4.7조원 → 9월 1.1조원 증가
9월 은행권 증가량, 8월 절반 수준으로 감소해
당국 "다시 확대될 우려 있어, 선제적인 관리 필요"
ㅏ
시중은행 ATM기기 전경/연합뉴스
지난 9월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1조원대 초반에 그치며 크게 둔화됐다.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줄고,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감소세로 전환된 영향이다.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1조1000억원 늘어나 전월(4조7000억원)과 전년 동월(5조4000억원)에 비해 증가폭이 대폭 축소됐다. 이중 주담대는 3조6000억원 증가해 전월보다 1조5000억원 줄었고, 기타대출은 2조4000억원 감소하며 감소 폭이 확대됐다.

이중 은행권 가계대출은 2조원 증가해 전월(4조1000억원) 대비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세부적으로는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 규모가 1조4000억원으로 전월(2조7000억원)보다 둔화됐고, 정책성 대출(디딤돌·버팀목 등)은 1조1000억원 수준으로 전월과 유사했다. 기타대출은 전월 3000억원 증가에서 5000억원 감소로 전환됐다. 특히 전세자금대출은 8월 4000억원 증가에서 9월 2000억원 감소로 돌아서며 계절적 수요 둔화가 반영됐다.

제2금융권은 9월 중 9000억원 감소해 전월 6000억원 증가에서 감소세로 전환됐다. 상호금융 증가폭은 1조2000억원에서 9000억원으로 축소됐고, 저축은행은 소폭 증가에서 5000억원 감소로 전환됐다. 여전사 감소 폭도 1조1000억원으로 확대됐다.

전반적인 증가세 둔화의 배경에는 부동산 거래 위축이 자리하고 있다. 6·27 대책 이후 대출 실행까지 통상 2~3개월의 시차를 고려할 때, 이번 감소는 정책 효과가 본격화된 결과로 풀이된다. 신규 주담대 증가세가 둔화되고 주택 매매 거래량이 감소한 영향이 맞물렸다는 분석이다. 특히 금융당국은 이달 15일 시행된 '대출수요 관리 방안'에 따라 창구 점검과 불법·편법 거래 조사 등을 통해 가계대출 증가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6·27대책 효과에 따른 주담대 증가폭 축소와 기타대출 감소로 인해 9월 가계대출 증가세는 상당 수준 안정화되고 있다"며 "다만, 최근 수도권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며 주택거래량이 일부 증가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향후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 증가세가 다시 확대될 우려가 있는 만큼, 보다 선제적인 가계대출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임우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