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미 국방부 기자단, ‘보도 통제’에 맞서 출입증 집단 반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6010005041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10. 16. 13:56

국방부, 허락없이 기밀 노출하면 출입증 박탈 '으름장'
트럼프 행정부에 우호적인 폭스뉴스도 서명 거부
clip20251016111540
15일(현지시간) 미국 국방부 출입 기자들이 출입증을 반납한 뒤 워싱턴 D.C.국방부 건물을 나서고 있다./AP 연합뉴스
미국 국방부의 보도 통제에 반발한 국방부 담당 기자들이 출입증을 집단으로 반납하고 국방부 기자실을 퇴거했다.

AP·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 국방부 출입기자들은 15일(현지시간) 국방부의 새 언론 규정을 거부하며 출입증을 반납했다. 로이터·AP통신·블룸버그·뉴욕타임스(NYT)·워싱턴포스트(WP)·CNN은 물론, 트럼프 행정부에 우호적인 보도를 해온 폭스뉴스를 포함해 뉴스맥스, 워싱턴타임스 등 보수 성향의 언론사도 서약서 서명을 거절했다

앞서 국방부는 출입 기자들에게 승인받지 않은 기밀 또는 통제된 정보를 허락 없이 보도하면 출입증을 박탈하겠다면서 이에 동의하는 서약서에 지난 14일 오후 5시까지 서명하지 않으면 출입증을 반납하고 24시간 안에 사무실을 비우라고 언론에 통보했다.

AP통신에 따르면 국방부는 이날 기자들에게 오후 4시까지 건물을 비우라고 통보했다. 시간이 다가오자 복도에는 박스가 쌓였고, 기자들은 의자와 복사기, 책, 사진 등을 들고 사무실을 정리했다. 4시가 되자 약 40~50명의 기자가 함께 출입증을 반납하며 국방부를 나섰다.

숀 파넬 국방부 대변인은 새 언론정책이 "언론의 동의를 요구한 것이 아니라, 정책 내용을 이해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라며 "기자들이 피해자 행세를 하고 있다. 국가 안보를 위한 조치라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국방부 입장을 두둔했다. 그는 "피트 헤그세스 장관은 언론이 세계 평화와 국가 안보를 해치는 존재라고 본다"고 말했다.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은 "상식적인 조치"라며 "국가 안보를 존중하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주요 방송사는 공동성명을 내고 "이번 규정은 언론이 국가안보 사안을 국민에게 알릴 권한을 제한한다"며 "언론 자유의 근간을 위협한다"고 비판했다.

뉴욕타임스 워싱턴지국 리처드 스티븐슨 국장은 "연간 약 1조 달러의 세금이 투입되는 미군의 운영을 국민은 알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로이터도 "우리는 정확하고 독립적인 보도 원칙을 지키며, 헌법이 보장하는 언론 자유를 수호한다"며 "국방부의 새 규정은 이러한 가치에 반한다"고 밝혔다.

법조계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새 규정이 기자의 정보 취득 행위를 '보안 위험'으로 규정함으로써 헌법이 보장하는 언론 자유를 침해할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일부 변호사는 "기자가 국방 관련 정보를 보도할 경우 간첩법( Espionage Act) 적용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폭스뉴스 진행자 출신인 헤그세스 장관은 취임 초기부터 언론 접근을 대폭 제한해왔다. 그는 정식 기자회견을 단 두 차례만 열었다. 또 기자들의 국방부 주요 구역 출입을 금지했고, 언론에 대한 정보 유출을 조사하는 내부 감사를 확대했다.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