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삼전 능가하는 臺 TSMC, 3분기 순익 사상 최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6010005414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10. 16. 18:58

전문가 예상 상회한 21조 원
전년 동기 대비 39.1% 급증
사상 최대, 미 압박 직면할 듯
세계 최대 파운드리(위탁 생산) 업체인 대만 TSMC(타이지뎬臺積電)의 지난 3분기 순이익이 인공지능(AI) 인프라 수요 급증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분위기로 볼때 앞으로도 계속 여세를 몰아가면서 속속 각종 기록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

clip20251016185455
대만 수도 타이베이(臺北)의 인근인 신죽(新竹)과학공업단지에 자리잡은 TSMC 본사 전경. 올해 3분기에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징지르바오(經濟日報).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정보통신기술(ICT) 업계 정보에 밝은 베이징 소식통들의 16일 전언에 따르면 TSMC는 이날 실적 발표를 통해 올해 3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9.1% 증가한 4523억 대만달러(21조2500 억 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시장 전망치인 4177억 대만달러를 가볍게 웃돌았다. 삼성전자의 거의 두배에 가까운 실적을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고 할 수 있다.

이보다 앞서 TSMC는 3분기 잠정 매출을 9900억 대만달러로 제시한 바 있다. 이 역시 전년 대비 30%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에 해당한다. 매출 대비 순이익이 거의 50%에 가깝다는 계산은 바로 나온다. 그야말로 경이적인 이익률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 베이징의 한 ICT 업체에 근무한 바 있는 대만 사업가 류잉판(劉英範) 씨는 "이번 실적은 당초의 시장 예측을 뛰어넘는 것이다. 전문가들도 이 정도일 줄은 예상 못했다. AI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반도체 수요 급증의 수혜를 입었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통신을 비롯한 일부 외신 역시 이번 실적과 관련, "애플과 세계 최대 규모의 칩 설계업체들을 고객사로 둔 TSMC가 향후 몇 년 안에 1조 달러 돌파가 예상되는 AI 인프라 투자의 최대 수혜자 중 하나라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더불어 "이런 투자 열풍과 기술주 가치의 급격한 상승은 주류 AI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의 지속성이 부재했던 닷컴 버블과도 비교된다"고 부연하기도 했다.

그러나 TSMC의 승승장구에 제동을 걸 부정적인 요인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계속 대만을 향해 칼끝을 겨눌 경우 상황이 변화할 가능성이 전혀 없지는 않다. 물론 미국에 수출되는 대만 반도체는 20%의 관세가 부과되는 다른 수출품들과 달리 면세 혜택을 받고 있는 만큼 여유만만의 입장이라고 해야 한다. 반도체에 관한 한 대만이 갑, 미국이 을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워드 루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지난달 말 언론 인터뷰를 통해 대만 반도체 생산능력의 50%를 미국으로 옮기자는 내용의 구상을 제시한 것은 무엇보다 이런 현실을 잘 말해준다. TSMC가 지난 3월 미국 애리조나에 1650억 달러를 투자, 반도체 공장 6개와 패키징 시설 2개, 연구센터 1개를 건설하겠다고 발표한 것 역시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TSMC가 미국 언론으로부터도 진격의 거인으로 불리는 것은 다 이유가 있다고 해야 할 것 같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