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 스와프는 외환시장 안정성 수단 중 하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설득 아직 알 수 없어"
|
구 부총리는 16일(현지시간)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본부에서 진행한 동행기자단 간담회에서 "어제 주요20개국(G20) 회의에 가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을 만났다"며 "(미국이 한국에게) 3500억달러를 '업프런트'(up front·선불)하라고 했을 때 한국이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는 것을 베선트 장관이 잘 이해하고 있고, 내부적으로 (통상 협상 주체인)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관련한) 이야기를 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및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차 워싱턴DC에 머물고 있다. 구 부총리는 "베선트 장관이 한국 외환시장이 안정될 수 있도록 미국이 할 수 있는 협력이나 지원에 대해 관심을 갖고 우리와 소통을 잘하지 않을까 보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측의 '선불 지급' 요구를 막을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냐는 질문에 "그 부분을 (미국 측이) 이해하고 있으니까 그런 측면에서는 우리한테 좀 좋을 수 있다"고 답했다. '선불 지급 요구 철회 가능성과 관련해 유의미한 진전이 있다는 의미냐'는 물음에는 "그렇게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는 러트닉과 7월 말에 만나고 안 만났다. 제 (협상) 창구는 베선트"라면서 "(베선트에게) 내부에 (한국 입장을) 이야기해달라고 했으니 그 부분은 (미 측의) 언더스탠딩이 높아졌다고 봐야 한다. 그런 면에서는 굿 사인"이라고 덧붙였다.
한미 통화스와프와 관련해서는 "통상협상은 러트닉 장관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하는 게 본체"라며 "협상에 따라 필요한 외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화스와프를 할 수도, 안 할 수도 있고 많이 할 수도, 적게 할 수도 있다"고 했다.
이어 "협상 결과에 따라 한국 외환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 '원 오브 뎀'이 통화스와프"라며 "지금 시점에서 이게 완전히 필요하다고, 필요 없다고, 많이 하고 적게 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날 구 부총리는 특파원단과 만나 "3500억 달러 선불을 빨리 하라는 것이 미국의 이야기로 알고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