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현 "김현지 출석, 못하게 하는게 남는 장사라는 계산"
|
17일 김병기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정부 시절 감사원과 권익위가 "정치보복원, 윤석열 권익위원회로 이름을 바꿔야 할 지경"이라고 했다. 그는 "국민의 기관이 아니라 윤석열의 심부름센터처럼 움직였다"며 "기관 전체의 명예를 더럽힌 윤석열 호위무사들의 죄상을 낱낱이 밝히고 단죄하는 것이 민주주의 회복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준호 최고위원은 김건희 여사를 조준했다. 한 최고위원은 "어제 국감은 모두 김건희 얘기였다"며 김 여사가 "왕 그 이상의 존재였다"고 비판했다. 그는 "김건희가 문화를 무엇으로 생각했는지 알겠다. 수단으로 본 것 아니겠냐"며 "박근혜는 블랙리스트로 괴롭히더니 (윤석열 정부는) 문화예술을 사유화했다"고 말했다.
정청래 당 대표는 지난 정권 군의 기강 문제를 거론했다. 정 최고위원은 "123 내란 사태에 조금이라도 가담했다면 명명백백하게 밝히고 엄정하게 처벌해 군의 기강과 명예를 바로 세워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불법 계엄의 잔재를 청산하고 헌법과 국민을 수호하는 국군으로 재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민주당은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국감 증인 출석 무산 책임이 국민의힘에 있다고 주장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회의 후 브리핑에서 "김 실장 출석을 막고 있는 것은 국민의힘이다. 운영위 출석 협의 중 국민의힘이 느닷없이 6개 상임위 출석을 요구한 것은 판을 깨려는 정치 공세"라고 했다. 이어 "김 실장이 실제 국감에 출석하는 것보다 출석 못 하게 해놓고 정치 공세하는 것이 훨씬 남는 장사라는 계산을 마친 것"이라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