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스마트공장 구축 중소기업의 AI 도입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 발표
|
중소기업중앙회는 19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스마트공장 구축 중소기업의 AI 도입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최근 5년간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 502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중소제조업체의 '보통' 응답을 포함하면 제조 AI 도입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78.5%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공장 구축 수준이 기초(38.8%)에서 고도화(58.4%)로 높을수록 AI 도입 필요성 인식이 더 높았다. AI 도입이 가장 필요한 분야로는 △품질관리(33.9%) △생산 최적화(32.3%) △공정 자동화(31.9%) 순이었으며 AI 도입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초기 비용 부담(44.2%) △전문인력 부족(20.5%)으로 나타났다.
AI 도입으로 스마트공장을 고도화하기 위한 투자 의향 금액은 '1억원 이하'가 68.9%로 가장 많았다. 응답기업의 54.6%는 '정부가 AI 기반 스마트공장 지원사업(AI팩토리)을 신설하면 (적극) 참여하겠다'고 답했다. 특히 기 구축한 스마트공장의 수준이 기초(47.4%)에서 고도화(63.2%)로 높아질수록 AI 사업 참여 의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중소제조업의 AI 도입에 가장 필요한 지원은 △직접적인 자금 지원(72.3%) △AI 전문 컨설팅(21.9%) 등 순으로 응답해 AI 솔루션 도입 비용, 관련 인프라 구축 등 '직접적인 자금 지원'이 가장 절실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통해 구축한 스마트공장의 실제 활용 여부에 대해 응답기업의 77.1%가 '잘 활용하고 있다'로 답했다. 스마트공장 구축 결과로 가장 만족하는 것은 △생산성 증가(42.0%) △작업환경 개선·산업안전 향상(36.1%) △공급망 관리·재고 관리 효율성(25.5%) △품질 향상(25.3%) △원가절감(14.9%) 순이고 스마트공장 운영에 가장 큰 어려움은 △전문 운영인력 부족(43.8%) △높은 유지관리 비용(25.9%) 등으로 나타났다.
제조 공정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64.5%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고 58.3%는 제조 공정 데이터를 활용·분석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스마트공장 수준이 높을수록, 매출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데이터 수집(82.1%), 활용·분석(78.6%) 비율이 높았다. 제조 공정 데이터의 수집·활용·분석의 어려움으로는 △담당자·전문인력의 부족(50.4%) △생산설비 노후화·시스템과 현장의 괴리(28.5%) △시스템 유지관리 비용 부담(24.7%) 등 순이었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스마트공장의 실제 활용도나 데이터 수집·분석 현황 등이 업체별 공장 수준과 상황에 따라 편차가 커 AI 대전환을 위한 제조 AI 도입 지원과 기초 수준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지원도 지속하는 투 트랙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