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트럼프, 김정은과 회담 비밀리 논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8010005911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10. 18. 23:43

北의 무응답에도 높은 가능성
2019년에는 비슷한 회동 성사
트럼프, "이 대통령과 회동 후 관심" 피력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다음 달 아시아 순방 때 김정은 북한 노동당 국무위원장과 회담을 비공개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 위원장
지난 2019년 6월 판문점에서 깜짝 회동을 가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피 미국 대통령. 이번 달에도 비슷한 형태의 조우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중국신문(CNS).
북미 관계에 정통한 베이징 소식통들이 일부 외신을 인용해 18일 전한 바에 따르면 양 정상 간의 회담은 현실적으로 열릴 가능성이 상당히 희박하다. 회담에 적극적인 미국조차 아직 회담 개최에 필요한 실질적인 계획도 세우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때처럼 양자 간 직접적인 소통 역시 아직 없다.

그러나 미국은 아시아 순방 기간 회담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달 말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한국 경주에서의 조우에 대해 상당히 기대를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때인 2019년에도 트위터를 통해 만남을 갑자기 제안한 지 48시간도 채 되지 않아 비무장지대(DMZ)에서 두 정상의 악수가 성사된 만큼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김 위원장과 만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지속적으로 드러낸 바 있다. 지난 8월 이재명 대통령을 백악관으로 초대해 회담을 가진 이후부터는 더욱 그랬다고 할 수 있다. 이 대통령이 이때 트럼프 대통령을 APEC 정상회의에 공식 초청하자 김 위원장과 만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 아닌가 보인다.

양자 간의 회담 성사에 대해서는 북한도 부정적으로 보고 있지는 않다. 일부 관영 매체가 김 위원장이 지난달 북한 의회 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 성사에 대해 "(나는) 열려 있다"는 요지의 입장을 표명했다는 사실을 보도한 것을 볼 때 진짜 그렇다고 할 수 있다.

물론 한국 정부 소식통은 2019년 6월과 같은 깜짝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없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백악관 경호팀이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에 앞서 회담 장소를 물색하기 위해 두 차례 한국을 방문했음에도 판문점은 둘러보지 않은 사실을 감안하면 확실히 그럴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튀는 성격으로볼 때 극적인 북미 정상회담의 성사 가능성은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고 해야 할 것 같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