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감사 실효성 약화 지적
|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찬대 더물어민주당 의원(인천 연수갑)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의 회계 완화 정책 이후 비상장사 감사인 지정 건수는 2022년 146건에서 2024년 30건으로 2년 만에 약 80% 감소했다.
특히 대형 비상장사 기준 상향 조치로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 의무에서 제외된 기업이 급증했으며, 일부는 감사 결과 '비적정' 의견을 받았음에도 제도 적용 대상에서 벗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박 의원은 "비적정 기업 상당수가 자산 1000억~5000억원 규모에 몰려 있다"며 "결국 제도를 무력화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IMD(국제경영개발연구원)의 2025년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의 회계투명성 순위는 69개국 중 60위로, 2년 만에 23계단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37위까지 올랐던 순위가 8년 만에 다시 최하위권으로 떨어졌다.
박찬대 의원은 "정부가 '기업 부담 완화'를 내세워 회계감사 의무를 줄이면서 회계개혁이 10년도 채 지나지 않아 원점으로 돌아갔다"며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은 구조에서 감사 완화는 곧 분식회계의 면죄부"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근본 원인은 낮은 회계투명성과 취약한 지배구조에 있다"며 "투명성 없는 자본시장 활성화는 모래 위의 성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