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개방형 양자팹’ 본격화…양자 도시로 도약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3010008634

글자크기

닫기

대전 이진희 기자

승인 : 2025. 10. 23. 12:00

1.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본격 착수1
23일 카이스트에서 열린 대전시-KAIST 개방형 양자팹 구축 업무협약식에 참석한 이장우 대전시장(오른쪽)과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 /대전시
대전시가 KAIST와 손잡고 국내 최대 규모의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개방형 양자팹)' 구축에 본격 나섰다. 이번 사업은 대전을 대한민국 양자산업의 중심도시로 도약시키기 위한 핵심 기반이 될 전망이다.

23일 대전시는 KAIST 본원에서 이장우 대전시장과 이광형 KAIST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개방형 양자팹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양자기술의 산업화 시대를 대비해 필수 인프라로 꼽히는 양자공정 시설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은 총 451억 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KAIST 본원 내 미래융합소자동 일원에 지하 1층, 지상 3층, 연면적 2500㎡ 규모로 신축되며,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준공 후에는 KAIST가 직접 운영을 맡는다.

이 시설에는 양자 전용 공정에 필요한 첨단 장비가 구축돼 고도화된 공정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중심의 개방형 운영 체계를 도입해 연구기관, 기업, 스타트업 등 다양한 주체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방침이다.

양자팹은 광자, 이온트랩, 중성원자 등 양자기술 연구를 위해 필요한 양자소자를 제작·생산하는 시설이다.

양자기술은 양자역학의 특성을 활용해 기존 컴퓨터가 처리하기 어려웠던 복잡한 계산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어 △화학 시뮬레이션 △암호 해독·배터리 신소재 탐색 △신약 개발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분야의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핵심 기술이다.

대전시는 이번 사업에 시 재정을 투입하는 만큼 지역의 산·학·연이 참여할 수 있는 공동 활용체계를 구축해 지역 연계형 양자산업 생태계와 산업화 기반 조성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양자과학기술은 미래 기술 패권을 좌우할 핵심 전략 분야"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산·학·연·관이 협력해 대한민국 양자 생태계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은 대전이 대한민국 양자산업의 중심으로 도약하는 강력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KAIST와 협력해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개방형 생태계를 조성하고, 양자 기술을 통해 미래 산업 선점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전시는 최근 3년 동안 개방형 △양자팹 △양자대학원 △양자 테스트베드 △양자컴퓨팅 스케일업 밸리 △퀀텀 플랫폼 등 양자클러스터 조성의 핵심 인프라를 잇따라 유치하며 국가 양자클러스터 거점도시로서 입지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

이진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