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누가 집을 몇 채 가졌는지 따질 게 아니라, 정권을 잡은 뒤 왜 특검이 다섯 채나 늘어났는지를 돌아봐야 한다. 관봉권 띠지 분실 사건까지 상설특검으로 다루겠다는 건 권력의 남용이자 정치 쇼에 불과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표는 "감찰로 충분히 처리할 수 있는 사안을 굳이 특별수사기구로 넘기는 건 과도한 대응"이라며 "역사를 보면 권력을 만든 세력이 결국 그 권력에 삼켜지는 경우가 많다. 문재인 정부가 특수부를 정치적 사냥개로 활용하다가 스스로 역풍을 맞은 게 대표적"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최근 정치권에서 거론된 '특검 출세 방지법'에도 공감 뜻을 밝히며 "정치 특검으로 출세해 본 사람의 말이기에 설득력이 있다"고 꼬집었다. 박근혜 국정농단 사건 당시 특별검을 맡았던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거론한 것이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자랑하던 공수처는 정작 작동하지 않는다"며 "이재명 대통령이 공수처를 불신하고, 결정적일 때마다 새로운 특검을 만든다는 것은 명백한 자기모순"이라고 비판했다. 또 "이재명 정부는 이미 김건희 특검과 내란특검, 쿠팡 사건, 관봉권 사건 등으로 특검 다섯 채를 굴리고 있다"며 "공수처라는 빈집까지 합치면, 수사기관 투기의 전형적인 사례"라고 했다.
이 대표는 아울러 "한 채에 수십억씩 드는 특검을 남발하면서 국정 운영은 뒷전"이라며 "국민의 세금이 권력의 사정 쇼에 쓰이고 있어 정부여당의 수사기관 투기에 피해를 보는 것은 결국 국민"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