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대차그룹, 日 도레이와 공동개발 본격화… 로봇·우주까지 ‘첨단소재 동맹’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7010010712

글자크기

닫기

남현수 기자

승인 : 2025. 10. 27. 19:01

현대차그룹, 도레이와 미래 모빌리티용 첨단소재 개발 착수
차세대 이동체 전반으로 확대... 고성능차·로봇·달 탐사 로버
R&D부터 상용화까지 아우르는 '복합소재 얼라이언스' 구축
(사진1)현대차그룹, 도레이그룹과 전략적 공동 개발 계약 체결
(첫번째줄 왼쪽부터) 김흥수 현대차그룹 GSO본부장 부사장, 테라다 미키 도레이그룹 복합재료사업본부 부문장이 체결식 이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이 일본 도레이그룹과 손잡고 미래 모빌리티용 첨단 복합소재 공동개발을 본격화한다. 지난해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CFRP) 등 포괄적 협력 계약을 맺은 데 이은 1년 반 만의 구체적 기술개발 계약이다. 이로써 현대차그룹은 고성능차는 물론 로봇·우주탐사 등 차세대 모빌리티 전반의 경량화 기술 확보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4일 도레이그룹과 '전략적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지난해 4월 양사가 체결한 포괄적 협력 계약이 실제 기술개발 단계로 발전한 것이다.

이번 계약을 통해 현대차그룹은 차량 단위 설계와 성능 검증을 담당하고, 도레이그룹은 탄소섬유 복합재를 중심으로 중간재와 성형 제품을 개발한다. 연구개발부터 생산·상용화까지 전 과정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방식이다. 단순한 소재 납품 관계를 넘어, 완성차 제조와 첨단 소재 기술의 융합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협력을 계기로 고성능 차량, 달 탐사 로버, 휴머노이드 로봇 등 특수목적형 모빌리티까지 아우르는 차세대 경량화 기술 개발에 나선다. 첨단 소재 및 부품을 고성능차뿐 아니라 로봇·항공·우주·특수목적형 이동체 등 미래 산업군으로 적용 범위를 넓히는 것이다. 고성능 복합소재는 차량의 연비 향상, 주행 안정성, 배터리 효율 개선 등으로 이어지는 '미래 모빌리티의 기본 기술'로 꼽힌다.

김흥수 현대차그룹 GSO본부장은 "이번 계약은 양사가 본격적으로 협력해 성과를 창출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첨단 복합소재 분야의 연구개발부터 생산·상용화까지 긴밀히 협력해 시장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테라다 미키 도레이그룹 복합재료사업본부 부문장도 "현대차그룹과 함께 혁신적인 복합소재 솔루션을 창출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계약을 통해 복합소재 기술을 R&D 단계에 그치지 않고 상용화까지 이어지는 '복합소재 얼라이언스'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R&D본부 기초소재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첨단소재 설계·성능평가를 담당하고, 도레이는 도레이첨단소재, TAC(Toray Advanced Composites), EACC(Euro Advanced Carbon Fiber Composites) 등이 탄소섬유 기술 기반의 중간재와 성형 제품 개발을 맡으며, 도레이 인더스트리가 공동개발 창구 역할을 한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협력은 현대차그룹이 전동화,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로보틱스에 이어 '소재 혁신'까지 수직계열화를 완성하는 과정"이라며 "모빌리티 산업의 본질인 '가벼움과 강도'를 확보하려는 전략적 행보"라고 평가했다.
남현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